文정부도 못 꺾은 고위공직자 ‘강남불패’
실거주 빼고 처분 방침에도 강남집 남기고 땅도 사고 다주택 유지

文정부 덕? 고위공직자 부동산 재산 급증
전체 고위공직자의 63%(약 433명)가 지난해 부동산 재산 증가를 신고했다. 전년 대비 부동산 재산이 같거나 줄었다고 신고한 정부 고위공직자는 250명에 그쳤다. 무엇보다 지난해 고위공직자 부동산 재산 증가 규모는 약 893억원에 이른다. 이는 줄었다고 응답한 고위공직자들의 감소 규모(463억원)의 두 배에 가깝다. 아파트 등 주택을 포함한 건물 재산가치가 전년 대비 13.8%(534억원) 증가해서다. 한 예로 나영돈 고용노동부 고용정책실장(현 한국고용정보원장)은 지난해 경기도 남양주 대지에 복합건물을 신축, 22억원 넘는 재산 증가를 보였다.


특히 정부 고위공직자 대부분은 ‘내 집’에 살았다. 267명 고위공직자가 전세살이를 밝혔지만, 198명은 주택을 소유한 채 전세를 얻었다. 이에 따라 무주택 전세는 69명에 머물렀다. 오히려 683명 중 134명(20%)이 2채 이상 주택을 보유한 것으로 파악됐다. 본인과 배우자 명의 아파트·다세대주택·연립주택·단독주택·오피스텔 등을 집계한 수치로 주택 3채 이상을 가진 고위공직자도 21명이나 됐다. 정경득 해양수산부 수산업협동조합중앙회 감사위원장은 주택 6채를 신고했다. “부동산시장 안정화를 위해 실거주 목적 1채를 빼곤 처분하라” 밝힌 정부 메시지와 대조된다.
고위공직자들의 ‘강남 사랑’은 대단했다. 정부 방침에도 주택을 2채 이상 가진 다주택 고위공직자 134명이 보유한 전체 302채(평균 2.3채) 중 57채가 강남구·서초구·송파구 등 서울 강남 3구에 소재했다. 고위공직자 5명 중 1명이 다주택자인데다 이들이 가진 주택 5채 중 1채가 강남 3구에 있는 셈이다. 정부의 압박을 못 이긴 일부 고위공직자마저 강남만큼은 남겼다. 윤성원 국토부 제1차관은 서울 강남구 논현동 아파트를 그대로 보유한 채 세종시 주택을 처분, 세종시 전세를 택했다. 은성수 금융위원장도 세종시 주택을 처분하고 서울 서초구 잠원동 아파트를 남겼다.
땅 사랑도 여전했다. 1인당 토지 재산이 전년 2억7031만원에서 지난해 2억3977만원으로 소폭 줄었지만, 절반이 넘는 343명이 부동산 재산 중 토지가 있다고 신고했다. 주택 등 건물 없이 토지 재산만 보유한 고위공직자도 3명이었다. 지난해 최재성 청와대 정무수석은 배우자 명의로 경기도 남양주시 토지를 새로 매입하기도 했다. 3기 신도시 편입 토지를 보유한 고위 공직자도 있었다. 박성재 이북5도청 황해도지사(광명), 최성호 방송통신위원회 사무처장(남양주), 박현민 한국표준과학연구원장(하남) 등이다. 다만 상속받았거나 수십 년 전에 매매한 것으로 파악됐다.

6억원에 신고한 아파트, 실거래가는 14억원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동남아시아 신재생 에너지 시장은 기회의 땅
2尹이 쏘아 올린 '통신3사' 담합 과징금...억울한 통신 3사, 왜?
3中서 신종 코로나 또 발견?...관련주는 벌써부터 들썩
4'무례·혐오' 포털 뉴스 댓글에 몰려...유튜브보다 많아
5 미-러 대표단, 2주 내 우크라 종전 협상 예정
6일본 '다케시마의 날' 행사 열어...정부 "즉각 폐지 엄중 촉구"
7뉴욕 경매시장에 등장한 조선 달항아리...추정가 36억원
8"美 생산 아니면 관세"...트럼프, 일라이 릴리·화이자 등 압박
9AI에 돈 쏟는 중국 IT 공룡들...알리바바도 투자 동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