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실적악화·보복운전…경영능력 물음표
아워홈 주총서 대표 해임, 방어 할까

구본성 아워홈 부회장의 공든 탑이 한 순간에 무너질 위기에 처했다. 가뜩이나 실적을 두고 경영능력을 의심받는 상황에서 보복운전을 한 혐의로 징역형의 집행유예를 선고 받았기 때문. 경영권을 노리는 구지은 전 캘리스코 대표이사는 구미현·명진 자매와 손잡고 ‘문제아’ 오빠를 몰아내는 데 성공했다.
아워홈은 4일 오전 주주총회에 이어 이사회를 열고, 구 전 대표 측이 상정한 대표이사 해임안을 통과시켰다. 구 전 대표는 아워홈이 창사 이래 첫 적자를 기록한 가운데 구 부회장이 본인 포함 이사 보수 한도를 늘렸다는 점, 또 최근 보복 운전 혐의로 징역형 집행유예를 선고받은 것 등을 놓고 해임을 요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업계 예상대로 구 부회장과 구 전 대표의 ‘남매대첩’이 재점화 된 셈. 구 부회장은 5년 전 이 싸움에서 승자한 인물이다. 당시 LG가의 장자승계 원칙이 적용됐다는 분석이 컸다. 구 부회장이 오기 전까지 아워홈의 차기 후계자는 4남매 중 유일한 경영 참여자인 구 전 대표.
그는 지난 2004년 아워홈 입사 후 구매식재사업본부장, 부사장 등을 거치며 회사를 빠르게 성장시켰다. 구 부회장이 경영에 참여하면서 자리에서 밀려난 뒤 사보텐·타코벨 등을 운영하는 외식기업 캘리스코를 이끌었다. 오빠인 구 부회장과는 계속해서 갈등을 빚어왔다.
당시 구 부회장은 경영 경력이 전무했던 상황. 삼성경제연구소 임원 등 외부 경력이 전부였다. 아니나 다를까. 구 부회장이 경영권을 잡은 이후 아워홈의 실적 부침은 계속됐다. 지난해 실적은 아직 공시되지 않았지만 상반기 기준 매출액은 8040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12.5% 줄었고, 영업적자는 119억원을 기록하며 적자전환했다. 반면 배당은 크게 늘었다. 아워홈의 1주당 배당금은 구 부회장이 경영에 참여한 2016년 300원, 2017년 325원, 2018년 750원 등으로 지속적으로 상승했다.

이런 상황에서 구 부회장의 보복운전은 ‘남매대첩’ 반전의 계기가 된 모양새다. 아워홈의 최대 주주는 구본성 부회장으로 지분 38.6%를 갖고 있다. 그러나 구미현(19.3%)·명진(19.6%)·지은(20.7%) 세 자매의 지분을 합치면 59.6%에 달한다. 캐스팅보트를 쥔 건 장녀 구미현씨다. 미현씨는 2017년 아워홈 경영권 분쟁 당시 구 부회장 편에 섰지만 이번 주주총회에서는 구 전 대표 손을 들어줬다.
구 부회장은 사내이사 자리는 유지하면서 경영권 방어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3분의 2 이상의 지분이 동의해야 사내이사직도 박탈할 수 있어서다. 그가 ‘장자의 힘’으로 얻어낸 자리를 지켜낼 수 있을까. 2000년 창사 이후 첫 기업이미지(CI) 변경을 검토하면서 ‘변화’에 힘을 주고 있는 아워홈의 행보에 업계의 관심이 커지고 있다.
김설아 기자 kim.seolah@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디올백' 영상 나오자...통일교 간부 건진법사에 "목걸이 돌려줘"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팜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
'1인 2역' 박보영 '깜짝' 출연 계기 눈길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막내린 용산 시대…대선 이후 대통령 집무실 어디로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롯데카드부터 애경산업까지…내달 M&A 큰장 선다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유바이오로직스 ‘영업이익률 42.7%’, 백신기업 1위...고수익 유지 가능할까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