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강업계, 2분기 고공 실적 ‘예고’…철강 제품 가격 인상 영향
포스코 전년동기 대비 10배, 현대제철 30배 수준 영업이익 전망
하반기에는 상반기 수준 실적 기대하기 어려울 수도
국내 철강업계가 철강 제품 가격 인상 등에 힘입어 2분기 역대 최대 규모 수준의 실적을 달성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중국 정부의 철강 제품 가격 조정 가능성 등으로 주춤했던 철광석 가격이 최근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다는 점은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18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포스코의 2분기 연결기준 영업이익 컨센서스(증권사 전망치 평균)는 1조7758억원이다. 현대제철의 2분기 연결기준 영업이익 컨센서스는 4173억원, 동국제강은 1426억원으로 각각 집계됐다.
포스코의 2분기 연결기준 영업이익 컨센서스는 지난해 2분기와 비교하면 10배 이상 급증한 수치다. 현대제철은 2분기 영업이익 컨센서스를 실현할 경우 지난해 2분기보다 무려 30배 수준의 영업이익을 달성하는 셈이다. 동국제강의 2분기 영업이익 컨센서스는 지난해 2분기와 비교해 43% 증가한 수치다.
증권업계 등에선 2분기에도 원자재 가격 인상폭보다 주요 철강 제품의 가격 인상폭이 커 실적 상승이 지속될 것이란 분석을 내놓고 있다. 미래에셋증권은 지난 15일 “2분기 평균 열연강판 유통 가격이 톤당 300달러 수준 상승한 반면, 제선(철광석을 녹여 무쇠로 만드는 일)원가는 톤당 40달러 수준의 인상에 그쳐 마진 상승이 예상된다”고 전망했다.
하나금융투자는 이날 현대제철의 2분기 실적에 대해 “공장 가동 중단에도 양호한 영업 실적을 기록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하나금융투자는 “봉형강의 원재료인 철스크랩 가격은 톤당 6만원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는 반면, 봉형강의 판매 가격은 톤당 7만5000원 오를 것”이라고 예상했다. 자동차 강판 역시 원재료 인상폭은 톤당 6만5000원 수준이나, 판매 가격 인상폭은 톤당 9만원 수준일 것이라는 게 하나금융투자 측의 예측이다.
철강업계 등에선 중국의 철강 감산 기조 등으로 전 세계 공급 과잉 현상이 다소 완화되는 가운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로 침체됐던 철강 수요가 살아나면서 철강 제품 가격이 급등한 것이란 분석이다. 철강 제품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해 품귀 현상이 이어지고 있다는 얘기다.
다만 하반기에는 상반기 수준의 실적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하반기에 전 세계 철강 생산 증가 등으로 공급 부족 현상이 완화돼 철강 제품 가격이 하향 안정화될 것이란 이유에서다. 또한 자동차 강판, 조선용 후판에 대한 가격 인상이 이뤄진 만큼, 하반기 추가 인상은 쉽지 않을 것이란 관측도 제기된다.
최근 철광석 가격이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다는 점도 부담이다. 철광석 가격은 중국 정부가 철광석 가격 안정화 움직임을 내비친 이후 하락세를 보였지만, 이달 초부터 다시 상승 곡선을 그리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지난달 27일 톤당 189.73달러를 기록했던 철광석 가격은 이달 17일 220.82달러까지 올랐다.
국내 철강업계는 원자재 가격 인상 등으로 철강 제품 가격 인상 압박을 받고 있지만, 상반기에 가격 인상에 합의한 자동차‧조선 등의 업계에선 추가 인상에 대해 난색을 표하고 있다. 조선업계 관계자는 “상반기에 조선용 후판 가격 인상에 합의했는데 하반기에 또 다시 가격을 올린다면 업계 전반에 타격이 심각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창훈 기자 lee.changhun@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18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포스코의 2분기 연결기준 영업이익 컨센서스(증권사 전망치 평균)는 1조7758억원이다. 현대제철의 2분기 연결기준 영업이익 컨센서스는 4173억원, 동국제강은 1426억원으로 각각 집계됐다.
포스코의 2분기 연결기준 영업이익 컨센서스는 지난해 2분기와 비교하면 10배 이상 급증한 수치다. 현대제철은 2분기 영업이익 컨센서스를 실현할 경우 지난해 2분기보다 무려 30배 수준의 영업이익을 달성하는 셈이다. 동국제강의 2분기 영업이익 컨센서스는 지난해 2분기와 비교해 43% 증가한 수치다.
증권업계 등에선 2분기에도 원자재 가격 인상폭보다 주요 철강 제품의 가격 인상폭이 커 실적 상승이 지속될 것이란 분석을 내놓고 있다. 미래에셋증권은 지난 15일 “2분기 평균 열연강판 유통 가격이 톤당 300달러 수준 상승한 반면, 제선(철광석을 녹여 무쇠로 만드는 일)원가는 톤당 40달러 수준의 인상에 그쳐 마진 상승이 예상된다”고 전망했다.
하나금융투자는 이날 현대제철의 2분기 실적에 대해 “공장 가동 중단에도 양호한 영업 실적을 기록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하나금융투자는 “봉형강의 원재료인 철스크랩 가격은 톤당 6만원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는 반면, 봉형강의 판매 가격은 톤당 7만5000원 오를 것”이라고 예상했다. 자동차 강판 역시 원재료 인상폭은 톤당 6만5000원 수준이나, 판매 가격 인상폭은 톤당 9만원 수준일 것이라는 게 하나금융투자 측의 예측이다.
철강업계 등에선 중국의 철강 감산 기조 등으로 전 세계 공급 과잉 현상이 다소 완화되는 가운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로 침체됐던 철강 수요가 살아나면서 철강 제품 가격이 급등한 것이란 분석이다. 철강 제품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해 품귀 현상이 이어지고 있다는 얘기다.
하반기에도 상승세 이어갈까
다만 하반기에는 상반기 수준의 실적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하반기에 전 세계 철강 생산 증가 등으로 공급 부족 현상이 완화돼 철강 제품 가격이 하향 안정화될 것이란 이유에서다. 또한 자동차 강판, 조선용 후판에 대한 가격 인상이 이뤄진 만큼, 하반기 추가 인상은 쉽지 않을 것이란 관측도 제기된다.
최근 철광석 가격이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다는 점도 부담이다. 철광석 가격은 중국 정부가 철광석 가격 안정화 움직임을 내비친 이후 하락세를 보였지만, 이달 초부터 다시 상승 곡선을 그리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지난달 27일 톤당 189.73달러를 기록했던 철광석 가격은 이달 17일 220.82달러까지 올랐다.
국내 철강업계는 원자재 가격 인상 등으로 철강 제품 가격 인상 압박을 받고 있지만, 상반기에 가격 인상에 합의한 자동차‧조선 등의 업계에선 추가 인상에 대해 난색을 표하고 있다. 조선업계 관계자는 “상반기에 조선용 후판 가격 인상에 합의했는데 하반기에 또 다시 가격을 올린다면 업계 전반에 타격이 심각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창훈 기자 lee.changhun@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케이뱅크, IPO 또 연기…“시장 상황 개선되면 재추진”
2제네시스, ‘G80 블랙’ 판매 개시
3 당정 "1월 27일 설 연휴 임시공휴일 지정"
4SPC 파리바게뜨, 손흥민 뛰는 ‘토트넘 홋스퍼’와 공식 파트너십
5캄파리코리아, 온 가족과 나누는 프리미엄 위스키 세트 설 한정 출시
6타임트리, 첫 해외 거점 '타임트리코리아' 설립, 글로벌 사업 확장 가속화
7고소득 자영업자도 대출 연체율 늘어…9년 반만에 최고
8 삼성전자, 작년 영업익 32조7천300억원…지난해 대비 398.2%↑
9뉴욕증시, 엔비디아 기대감 꺾이자 기술주 투매…나스닥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