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자도 없고 보험도 외면한 삼척화력발전소 '공사 재개'
해상공사 중단 8개월 만에 재개 허가
공기 지연 우려 여전, 회사채 미매각
국내 주요 손보사 “보험 중단” 선언
표류하던 포스코에너지의 삼척석탄화력발전소 건설사업이 일단의 산을 넘었다. 발전소 항만시설이 들어서는 강원도 삼척시 맹방해변의 연안침식으로 중단됐던 해상공사 재개가 가능해지면서다. 지난해 10월 백사장 침식이 심화하자, 환경부가 공사 중단을 정한 지 8개월 만이다. 다만 항만 공사 재개는 포스코에너지의 삼척석탄화력발전소 건설사업 앞에 놓인 야트막한 산이었을 뿐, 공사 지연과 경제석 악화, 자금 조달이란 큰 산이 남아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포스코에너지에 따르면 삼척블루파워는 25일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삼척석탄화력발전소 항만(해상) 공사 재개를 승인 받았다. 삼척블루파워는 포스코에너지의 석탄화력발전사업 출자사다. 삼척블루파워가 해안침식을 막기 위한 돌제 등 침식저감시설 설치 및 해변 복구를 지난 8개월에 걸쳐 완료했고 환경부가 현장 점검 등을 진행 공사 재개를 허가, 산업통상자원부가 승인했다. 2021년 3월까지 침식저감시설과 해변 복구를 명령받은 것과 비교하면 3개월 지연됐다.
포스코에너지는 삼척블루파워를 통해 이달 중 항만 공사를 최대한 빨리 재개한다는 방침이다. 포스코에너지는 최초 2021년 삼척석탄화력발전소 완공을 예정했지만, 정부의 탈석탄 기조에 따라 건설 중단을 겪는 등 경제성이 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후 환경영향평가서부터 꾸준히 지적됐던 연안침식 우려가 현실이 되면서 재차 공사가 중단, 2025년 완공도 예측할 수 없게 됐다. 현재 삼척석탄화력발전소는 본 설비 공정 35%, 해상 공정 7.5%에 머물러 있다.
포스코에너지는 첩첩산중에 빠졌다. 공기 지연 없이 예정된 2025년 건설을 완료한다 해도 발전소를 25년 밖에 가동할 수 없게 됐다. 정부가 세운 2050년 탄소중립(온실가스 순배출량 ‘0’) 목표에 석탄화력발전소 가동 중단이 들어갔다. 앞서 포스코에너지는 삼척석탄화력발전 사업권을 가진 동양파워(현 삼척블루파워)를 인수하며 완공 후 30년 가동을 목표한 것과 대조된다. 가동률을 90% 목표도 깨졌다. 지난해 국내 석탄화력발전소 가동률은 71%에 불과했다.
당장 자금조달도 문제다. 2018년 포스코에너지는 삼척블루파워가 필요한 발전소 구축 총 사업비 4조9000억원 중 1조원이 조달되지 않은 상황에서 공사를 시작했다. 지난해 약 2000억원 규모 회사채를 발행한 것을 고려하면 아직 약 8000억원 규모 자금이 더 필요하다. 하지만 금융권은 최근 삼척블루파워 회사채 인수 중단을 속속 밝히고 나선 것으로 드러났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경제성 악화로 삼척석탄화력발전소 회사채 인수 매력이 낮아졌다”고 말했다.
실제 이달 삼척블루파워가 1000억원어치 회사채를 발행하려 기관투자자를 상대로 주문을 받았지만 하나도 팔지 못했다. 수요예측(사전 청약)에서 매수 주문이 아예 없었다. 회사채 전량 미매각 사태는 올 들어 처음이다. 기후솔루션·녹색연합 등 24개 환경·지역단체로 구성된 탈석탄 캠페인 ‘석탄을 넘어서’에 따르면 한화자산운용·KB자산운용·신한BNP파리바자산운용·우리자산운용 등 10개사가 “앞으로 삼척블루파워가 발행 회사채를 인수하지 않겠다”라고 밝혔다.
이런 가운데 완공 이후 가동 자체가 불가능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기관투자자를 넘어 보험사까지 삼척화력발전소와 같은 발전소를 외면하고 있다. 국내 주요 손해보험사 4곳(DB손해보험, 현대해상화재보험, 한화손해보험, 하나손해보험)이 신규 석탄발전 사업에 관한 일체의 보험 제공을 중단한다는 ‘탈석탄 보험’을 선언했다. 이진선 석탄을넘어서 캠페이너는 “석탄화력발전소는 보험사의 운영 보험이 있어야 가동할 수 있는데, 주요 보험사가 손을 뗐다”고 말했다.
‘보험사들의 보험사’인 재보험업계에서도 석탄과 거리두기에 나섰다. 지난 6월 8일 열린 보험개발포럼(Insurance Development Forum)에 따르면 석탄 관련 보험 인수를 제한하거나 보장범위를 축소한 전 세계 재보험사의 비율이 2016년 3.8%에서 2020년 48.3%로 증가했다. 이진선 캠페이너는 “기후위기 심화에 따른 자연재해 증가가 보험 손실로 이어지고 있다”면서 “보험사는 기후위기 주범으로 꼽히는 석탄화력발전에서 멀어질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2050년 탄소중립 방침을 확정한 포스코는 이미 삼척석탄화력발전소와 거리를 뒀다. 포스코에너지가 동양파워를 인수할 당시 정한 사명 포스파워(POS Power)를 지난해 4월 삼척블루파워로 변경한 게 대표적이다. 포스파워는 사명 변경 전 포스코 소속 회사로써 ‘POS’로 시작하는 기업 로고를 동일하게 따랐다. 아울러 포스코는 삼척블루파워가 포스코에너지에 실질적인 지배를 받고 있음에도 종속회사가 아닌 관계회사로 설정해 두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삼척석탄화력발전소 건설을 가능한 한 빨리 중단하고 액화천연가스(LNG)발전소로 전환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마지막 석탄화력발전소로 불릴 만큼 공정 진행률이 아직 낮고, LNG발전 전환시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절반가량으로 떨어지기 때문이다. 하지만 포스코에너지는 전환을 검토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포스코에너지 관계자는 “이미 1조원 넘는 돈을 투입했다”며 “9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도 포함된 만큼 전기요금 안정화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배동주 기자 bae.dongju@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공사 재개에도 삼척화력 산 넘어 산
포스코에너지는 삼척블루파워를 통해 이달 중 항만 공사를 최대한 빨리 재개한다는 방침이다. 포스코에너지는 최초 2021년 삼척석탄화력발전소 완공을 예정했지만, 정부의 탈석탄 기조에 따라 건설 중단을 겪는 등 경제성이 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후 환경영향평가서부터 꾸준히 지적됐던 연안침식 우려가 현실이 되면서 재차 공사가 중단, 2025년 완공도 예측할 수 없게 됐다. 현재 삼척석탄화력발전소는 본 설비 공정 35%, 해상 공정 7.5%에 머물러 있다.
포스코에너지는 첩첩산중에 빠졌다. 공기 지연 없이 예정된 2025년 건설을 완료한다 해도 발전소를 25년 밖에 가동할 수 없게 됐다. 정부가 세운 2050년 탄소중립(온실가스 순배출량 ‘0’) 목표에 석탄화력발전소 가동 중단이 들어갔다. 앞서 포스코에너지는 삼척석탄화력발전 사업권을 가진 동양파워(현 삼척블루파워)를 인수하며 완공 후 30년 가동을 목표한 것과 대조된다. 가동률을 90% 목표도 깨졌다. 지난해 국내 석탄화력발전소 가동률은 71%에 불과했다.
당장 자금조달도 문제다. 2018년 포스코에너지는 삼척블루파워가 필요한 발전소 구축 총 사업비 4조9000억원 중 1조원이 조달되지 않은 상황에서 공사를 시작했다. 지난해 약 2000억원 규모 회사채를 발행한 것을 고려하면 아직 약 8000억원 규모 자금이 더 필요하다. 하지만 금융권은 최근 삼척블루파워 회사채 인수 중단을 속속 밝히고 나선 것으로 드러났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경제성 악화로 삼척석탄화력발전소 회사채 인수 매력이 낮아졌다”고 말했다.
실제 이달 삼척블루파워가 1000억원어치 회사채를 발행하려 기관투자자를 상대로 주문을 받았지만 하나도 팔지 못했다. 수요예측(사전 청약)에서 매수 주문이 아예 없었다. 회사채 전량 미매각 사태는 올 들어 처음이다. 기후솔루션·녹색연합 등 24개 환경·지역단체로 구성된 탈석탄 캠페인 ‘석탄을 넘어서’에 따르면 한화자산운용·KB자산운용·신한BNP파리바자산운용·우리자산운용 등 10개사가 “앞으로 삼척블루파워가 발행 회사채를 인수하지 않겠다”라고 밝혔다.
이런 가운데 완공 이후 가동 자체가 불가능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기관투자자를 넘어 보험사까지 삼척화력발전소와 같은 발전소를 외면하고 있다. 국내 주요 손해보험사 4곳(DB손해보험, 현대해상화재보험, 한화손해보험, 하나손해보험)이 신규 석탄발전 사업에 관한 일체의 보험 제공을 중단한다는 ‘탈석탄 보험’을 선언했다. 이진선 석탄을넘어서 캠페이너는 “석탄화력발전소는 보험사의 운영 보험이 있어야 가동할 수 있는데, 주요 보험사가 손을 뗐다”고 말했다.
‘보험사들의 보험사’인 재보험업계에서도 석탄과 거리두기에 나섰다. 지난 6월 8일 열린 보험개발포럼(Insurance Development Forum)에 따르면 석탄 관련 보험 인수를 제한하거나 보장범위를 축소한 전 세계 재보험사의 비율이 2016년 3.8%에서 2020년 48.3%로 증가했다. 이진선 캠페이너는 “기후위기 심화에 따른 자연재해 증가가 보험 손실로 이어지고 있다”면서 “보험사는 기후위기 주범으로 꼽히는 석탄화력발전에서 멀어질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2050년 탄소중립 방침을 확정한 포스코는 이미 삼척석탄화력발전소와 거리를 뒀다. 포스코에너지가 동양파워를 인수할 당시 정한 사명 포스파워(POS Power)를 지난해 4월 삼척블루파워로 변경한 게 대표적이다. 포스파워는 사명 변경 전 포스코 소속 회사로써 ‘POS’로 시작하는 기업 로고를 동일하게 따랐다. 아울러 포스코는 삼척블루파워가 포스코에너지에 실질적인 지배를 받고 있음에도 종속회사가 아닌 관계회사로 설정해 두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경제성 악화에 LNG발전소로 전환 지적
배동주 기자 bae.dongju@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AI에 외치다, “진행시켜!”… AI 에이전트 시대 오나
2한국에도 중소도시의 새로운 기회가 올까
3로또 1146회 1등 당첨번호 ‘6·11·17·19·40·43’,…보너스 ‘28’
4“결혼·출산율 하락 막자”…지자체·종교계도 청춘남녀 주선 자처
5“역지사지의 마음으로 진정성 있는 소통에 나설 것”
650조 회사 몰락 ‘마진콜’ 사태 한국계 투자가 빌 황, 징역 21년 구형
7노르웨이 어선 그물에 낚인 '대어'가…‘7800t 美 핵잠수함’
8'트럼프의 입' 백악관 입성하는 20대 女 대변인
9주유소 기름값 5주 연속 상승…“다음주까지 오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