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단독] 인트러스투자운용, 역삼 하이츠빌딩 710억원에 재매입

밸류에드1호 펀드, 3년 만에 매각 차익 200억원
260억원 리츠 조성·500억원 대출로 자금 조달

 
 
서울 강남구 역삼동 하이츠빌딩 전경. [사진 인트러스투자운용 홈페이지 캡처]
 
인트러스투자운용이 리츠(REITs·부동산투자회사)를 활용해 서울 역삼동 하이츠빌딩을 약 710억원에 사들인다. 지난 2018년 펀드(집합투자업자)를 통해 매입한지 3년 만에 200억원 이상의 매각 차익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29일 부동산금융업계에 따르면 ㈜인트러스제12호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인트러스12호 리츠)는 역삼 하이츠빌딩 일부 토지와 건물을 인트러스밸류에드1호부동산신탁(인트러스밸류에드1호 펀드)으로부터 약 710억원에 매입할 계획이다.
 
역삼 하이츠빌딩은 서울 강남구 역삼동 642-19에 위치한 지하 6층~지상 19층 빌딩이다. 서울 지하철 역삼역 5번 출구로 나오면 바로 마주할 수 있는 초역세권 오피스 빌딩이다. 1991년에 사용 승인을 받아 지어진지 30년 정도 지난 건물이다.
 
 
앞서 2018년 4월 인트러스투자운용은 인트러스밸류에드1호 펀드를 통해 역삼 하이츠빌딩 지하 2층~지상 7층 토지와 건물을 약 500억원에 인수했다. 이후 지하 1~2층과 지상 1층을 리모델링하고 매입가에 약 200억원을 더한 금액으로 이 빌딩을 매각할 예정이다. 매수자는 인트러스투자운용이 지난 4월 설립한 인트러스12호 리츠다.
 
인트러스12호 리츠의 투자 예상 금액은 부동산 매입자금(710억원), 취득부대비용(47억원), 금융수수료(7억원), 창업비·예비비(32억원) 등 약 800억원이다.
 
인트러스투자운용은 총 260억원 규모 공모 청약을 실시해 리츠 지분투자자를 모집할 계획이다. 또 대출기관으로부터 511억원 규모 장기차입금을 받고 나머지는 빌딩 임차인들의 임대보증금 23억원 등을 활용해 매입 대금을 조달한다.
 
공모 청약 투자자 모집은 이달 안에 이뤄질 예정이다. 공모로 모집하는 대상은 종류주 92만8000주로 약 232억원 규모다. 공모 청약 증권사는 KTB투자증권이다. 사모 청약의 경우 보통주 12만주로 구성했으며 약 30억원 규모다. 사모 참여 투자자는 3곳이다. ㈜케이비엠산업이 6만주(15억원), KFNS 4만주(10억원), 인트러스투자운용이 2만주(5억원)를 각각 인수할 계획이다.
 
인트러스12호 리츠로 설정한 법정 존속 기한은 10년이다. 하지만 인트러스투자운용은 이 리츠를 3년 간 운영한 뒤 부동산을 매각해 조기 청산할 방침이다. 자산관리는 인트러스투자운용이 담당하며 자산보관과 일반사무수탁은 각각 NH투자증권㈜과 신한아이타스 주식회사가 맡는다.
 
인트러스투자운용 관계자는 “역삼 하이츠빌딩 딜(Deal)은 매도와 매수 주체가 모두 인트러스투자운용으로 동일하다”며 “현재 투자를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박지윤 기자 park.jiyoun@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검은사막에서 엿볼 수 있는 차기작 ‘붉은사막’의 모습은?

2이재명 “민주당 집권 땐 코스피 3000 간다”

3‘홍콩 재벌 3세 사망’ 강남 성형 집도의, 업무상과실치사 ‘무죄’ 이유는

4전국 집값, 연초 더 떨어졌다...전셋값도 하락 전환

5정부, 올해 지적재조사사업에 418억 투입…민간 참여 47%로 확대

6“세금 한 푼 안내고”…자녀에 50억 아파트 편법 증여, 156명 세무조사

7美 계란값 폭등 '12개 7200원'...바이든 정부 책임?

8레페리, 알렉스디자인 인수 2년 성과 발표...“올해도 다양한 프로젝트 추진”

9“우리 아티스트 비웃지 마라”...가상 아이돌 시대, ‘플레이브’ 비하 논란

실시간 뉴스

1검은사막에서 엿볼 수 있는 차기작 ‘붉은사막’의 모습은?

2이재명 “민주당 집권 땐 코스피 3000 간다”

3‘홍콩 재벌 3세 사망’ 강남 성형 집도의, 업무상과실치사 ‘무죄’ 이유는

4전국 집값, 연초 더 떨어졌다...전셋값도 하락 전환

5정부, 올해 지적재조사사업에 418억 투입…민간 참여 47%로 확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