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eck Report
늙어가는 韓 제조업, 고령화 속도 美·日보다 가팔라 [체크리포트]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은 지난 10년간(2010~2020년) 제조업 근로자의 고령화 추이를 분석한 결과를 23일 발표했다. 분석에 따르면, 50대 이상 제조업 근로자 비중이 2010년 15.7%에서 2020년 30.1%로 14.4%포인트 증가했다. 반면 같은 기간 30대 비중은 35.1%에서 27.8%로 7.3%포인트 감소했다. 이어 청년층(15~29세) 비중은 21.6%에서 15.2%로 6.4%포인트 줄었으며, 40대 비중은 27.7%에서 26.9%로 0.8%포인트 감소한 것으로 파악됐다.
주요 제조업 강국과 비교하면 한국의 제조업 고령화 속도는 훨씬 가파른 것으로 분석된다. 한국의 제조업 근로자 평균연령은 2011년 39.2세에서 2020년 42.5세로 3.3세 올랐다. 그 사이 일본은 41.6세에서 42.8세로 1.2세 증가했고, 미국은 44.1세에서 44.4세로 0.3세 오른 것에 그쳤다.
한경연은 제조업 고령화가 저출산에 따른 인구 고령화로부터 비롯된 부분도 있지만 엄격한 노동 규제로 기존 정규직이 과보호돼 청·장년층의 노동시장 진입이 어려워진 탓도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 제조업 일자리는 2010~2015년 사이 59.7만명 늘었지만, 2015~2020년 내에는 7.1만명 증가하는데 그쳐 최근 5년간 제조업 고용이 크게 위축되었음을 보여준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민간의 고용부담을 낮추며 교육·훈련 강화로 노동의 질적 향상을 뒷받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임수빈 인턴기자 im.subin@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속보]윤 前 대통령 구속영장심사 재개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팜이데일리
이데일리
[단독] 박은영 전 아나, 두 아이 엄마 된다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단독]공매도 도입한 코인 거래소…당국, 투자자 보호 입법 추진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왓챠, CB 투자자가 회생절차 신청…"철회 요청, 협의 중"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큐렉소, FDA 늦어도 방향성 확실…이익·주도권 쥐고 미국시장 공략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