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이슈
‘백신 주권’ 확보 필수 시대에 국내 백신 자급률 6종에 불과 [2021 국감]
- 원액부터 완제품까지 국내 생산 백신 27%에 그쳐
일본뇌염 등 10종 13개 품목은 완제품 수입에 의존

국가 필수 예방접종 백신의 자급률이 27%대에 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를 계기로 ‘백신 주권’ 확보가 중대 현안이 됐다. 하지만 재료에서 최종 생산까지 국내에서 만들 수 있는 백신은 10종도 안 되는 것으로 파악됐다.
6일 더불어민주당 최혜영 의원(국회 보건복지위원회)이 질병관리청에게 받은 ‘국가예방접종사업 백신 자급 현황’에 따르면 국내에 유통 중인 국가예방접종 백신 22종 중 국내 제조사가 원액부터 완제품까지 모든 공정을 제조·생산할 수 있는 백신은 단 6종(국내 자급률 약 27.3%)에 불과했다.
국내에서 제조 가능한 백신은 B형 간염, Td(파상풍, 디프테리아), Hib(B형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수두, 인플루엔자, 신증후군출혈열 등 총 6종 15개 품목이다.
완제품 수입에만 의존하고 있는 백신은 일본뇌염(생백신), DTap-IPV/Hib(디프테리아·파상풍·백일해·폴리오·b형헤모필루스인플루엔자), Tdap(파상풍·디프테리아·백일해(만11~12세)), BCG(피내용·결핵), 폐렴구균(PPSV), 페렴구균(PCV10), 페렴구균(PCV13), MMR(홍역·유행성이하선염·풍진), HPV 2가(사람유두종바이러스), HPV 4가(사람유두종바이러스) 등 10종 13개 품목이다.
이밖에 폴리오(소아마비), 장티푸스, A형간염, DTap(디프테리아·파상풍·백일해 만 6세까지), DTap-IPV(디프테리아·파상풍·백일해·폴리오), 일본뇌염(사백신·세포배양) 등 6종 12개 품목은 원액을 수입해 국내에서 제조하고 있는 백신으로 파악됐다.
최 의원은 “코로나19 백신 수급 사태를 겪으면서 백신 개발에 국가자원 투자가 급증하고 있다”며 “'위드(with) 코로나'(일상과 방역을 병행하는) 시대에 백신 주권을 확보하려면 국민에게 필수 접종하는 주요 백신의 자급화를 높여야 한다”고 말했다.
박정식 기자 park.jeongsik@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많이 본 뉴스
MAGAZINE
MAGAZINE
Klout
Klout
섹션 하이라이트
섹션 하이라이트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 모아보기
- 일간스포츠
- 이데일리
- 마켓in
- 팜이데일리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韓대행, 대선출마 묻자 "노 코멘트…아직 결정 안내려"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윤여정, 아들 커밍아웃 고백 “뉴욕에서 결혼… 사위를 더 사랑해”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1만원대 맞아?” BBQ 치킨에 짬뽕 무한리필 끝판왕 뷔페[먹어보고서]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한화에어로 유증 여전히 물음표…또 제동 걸렸다[위클리IB]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국내 TPD 회사는 저평가 되었나…당면한 숙제는 '임상'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