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화상으로 예·적금, 신용대출까지...진화하는 '언택트 뱅킹' 서비스
- kB국민·우리은행 “향후 투자 상담으로 확대 계획”
신한·하나은행, 편의점+은행 생활금융 밀착 서비스

KB국민은행은 이용채널에 제한없이 대면 수준의 금융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KB 화상상담 서비스’를 시행한다고 13일 밝혔다.
해당 서비스는 화상상담을 위해 별도의 앱 또는 프로그램 설치가 필요없는 웹방식 서비스다. 신분증 촬영, 비밀번호 확인 등 비대면 실명확인 절차를 통해 상담뿐만 아니라 금융상품 가입까지 가능하다. KB국민은행은 예·적금 신규, 신용대출과 같은 상담 업무부터 향후 금융투자상품 등으로 업무 범위를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KB국민은행은 혼잡점포를 중심으로 화상상담 전용창구를 우선 시행하기로 했다. KB국민은행 관계자는 “5개 점포의 화상상담 전용창구를 시작으로 향후 인터넷뱅킹, KB스타뱅킹까지 서비스를 확대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우리은행 역시 이날 고객이 화상으로 은행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원격 화상상담창구 ‘디지털데스크’를 운영한다고 밝혔다. 디지털데스크에선 화상상담직원이 고객의 얼굴과 스캔된 신분증을 대조하고, 신분증 진위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안전하게 거래할 수 있다. 우리은행은 내년 1월부터 통장, OTP, 보안카드 등 실물 증서 발급도 확대할 예정이다.

신한은행 편의점 점포에선 디지털 데스크를 사용할 수 있다. 디지털 데스크는 은행 영업점이 아닌 외부의 공간에 대면 수준의 업무 처리가 가능한 플랫폼을 설치한 것이다. 편의점 내 독립된 공간에서 신한은행 디지털 영업부의 직원과 화상 상담을 통해 펀드, 신탁, 퇴직연금, 대출 등 영업점 창구 80% 수준의 은행 업무를 처리할 수 있다.
하나은행은 BGF리테일과 협업해 서울 송파구 소재 CU마천파크점에 금융과 유통이 융합된 디지털 점포를 열었다. 해당 점포에는 금융 서비스 제공을 위한 하나은행 스마트 셀프존이 구성됐다.
하나은행 스마트 셀프존에는 은행 상담원과 화상 상담 연결이 가능한 종합 금융 기기 STM(Smart Teller Machine)과 현금지급기(CD, Cash Dispenser)가 각각 1대씩 설치됐다. 고객은 STM을 통해 계좌 계설, 통장 재발행, 보안카드 발급 등 영업점을 방문하지 않고도 은행 업무를 처리할 수 있다.
하나은행 관계자는 “새로 선보인 디지털 혁신 채널은 금융과 생활 편의점의 장점을 결합해 보다 많은 손님들께 일상 속에서 편리한 종합생활금융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마련됐다”고 설명했다.
홍다원 기자 hong.dawon@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국힘 정당해산' 군불 때는 鄭…통진당 사례 비교해보니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EPL 최고의 듀오’ SON 향해 찬사 보낸 케인 “마법 같은 순간이었다”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휴가 복귀 첫 지시…李 대통령 “산재사고 대통령 직보하라”(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3년간 배당 늘린다더니…고려아연, 중간배당 생략한 배경은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엔허투 SC' 임상 다음달 개시…알테오젠, 글로벌 ADC 개발 판도 바꾸나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