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2021 산업계 리뷰- 게임] 올해 게임업계 뜨겁게 달군 키워드 ‘P2E’의 미래는?

위메이드 ‘위믹스’가 시장 선도…다른 게임사들도 참전
법적 문제로 국내 출시 아직 불가능…글로벌 시장부터 공략

 

 
미르4 글로벌 버전 이미지 [사진 위메이드]
올해 게임업계 최대 화두는 ‘게임을 하면서 돈도 번다’는 의미의 ‘P2E(Play to Earn)’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위메이드가 ‘미르4’ 글로벌 버전 흥행으로 P2E 성공 사례를 보여주면서, 국내 게임사들도 블록체인과 NFT 기술을 활용한 P2E 시장에 본격적으로 도전장을 내밀기 시작했다.  
 
블록체인 게임이란 암호화폐 등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게임을 말한다. NFT란 대체불가토큰(Non-Fungible Token)의 약자다.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위·변조가 불가능하고 토큰 1개당 가치와 가격이 모두 다르기 때문에 예술작품, 게임 아이템, 가상세계 아바타 등에 활용할 수 있다.
 

블록체인 기술 적용 ‘미르4’ 글로벌 버전으로 흥행 돌풍

블록체인 게임이 기존 게임과 가장 크게 다른 점은 NFT 등을 활용해 게임 내 자산을 유저가 통제하고 소유한다는 점이다. 기존 게임에서는 이용 약관을 근거로 게임 내 최종적인 자산을 게임 개발사가 보유하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A게임 자산을 B게임으로 이동시키는 것도 불가능했다.
 
반면 블록체인 게임 내 자산은 이용자 것이다. 개인 간 거래도 자유롭다. 아울러 A게임 자산을 같은 블록체인 기반의 B게임으로 이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기존에 통용되던 암호화폐를 사용하는 블록체인 게임의 경우, 게임 내 자산을 암호화폐로 바꿔 실물경제에도 사용할 수 있다. 게임을 통해 실제 돈을 버는 것이 가능한 셈이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P2E 게임이 큰 반향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대표적인 사례가 베트남 스타트업 스카이마비스가 개발한 ‘엑시인피니티’다. 해당 게임은 동남아 시장에서 평균 임금을 웃도는 수익을 내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 게임 중에는 위메이드가 서비스 중인 ‘미르4’ 글로벌 버전이 대표적이다. 위믹스 플랫폼 위에 탑재된 ‘미르4’ 글로벌 버전은 전 세계 170여 개 국가에 12개 언어로 정식 출시됐고 11개 서버로 시작해 현재는 서버 222개를 운영하고 있다. 전 세계 동시 접속자 수 역시 130만명을 돌파하는 등 글로벌 흥행 돌풍을 일으키고 있다.
 
유저들은 미르4 글로벌 버전 게임 내에서 ‘흑철’을 채굴해 이를 ‘드레이코’라는 게임 코인으로 바꿀 수 있다. 드레이코는 다시 위믹스 코인으로 교환이 가능하다. 위믹스 코인은 빗썸 및 글로벌 거래소에 상장된 만큼 이를 현금화할 수 있다.
 
유성만 리딩투자증권 연구원은 “미르4에서 게임 내 재화인 ‘흑철’을 24시간 동안 한 달 내내 생산하면 약 40만~45만원의 수익화가 가능하다”며 “이는 저임금 국가(중남미, 동남아, 동유럽)와 일반 유저들을 유입하기에 충분한 당근효과가 있다”고 설명했다.
 

국내에선 블록체인 게임 서비스 어려워…관련 소송 진행 중

다만 국내에서는 블록체인 게임을 제대로 맛보기 아직 어렵다. 게임물관리위원회가 게임 아이템 현금화 가능성이 사행성을 조장할 수 있다는 이유로 NFT 활용 게임에 대한 등급분류를 거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해 게임위는 지난 4월 스카이피플의 블록체인 활용 모바일게임 ‘파이브스타즈 포 클레이튼’에 대해 등급분류 결정 취소를 내린 바 있다. 게임 내 NFT 기능으로 인해 사행성이 우려된다는 이유였다. 국내에서 서비스되는 모든 게임은 연령등급을 받아야 하며, 등급분류가 취소되면 서비스를 이어갈 수 없다.  
 
게임위가 계속해서 등급분류를 거부하자, 스카이피플은 자율 심의를 통해 게임을 출시했다. 이마저도 게임위의 반대로 무산됐다. 결국 게임을 정상적으로 서비스할 수 없게 된 스카이피플은 게임위를 상대로 집행정지 가처분 신청과 행정처분 취소 소송을 제기했고 지난 6월 집행정지 가처분 소송에서 승소했다. 이를 통해 스카이피플은 본안 소송 진행 동안 파이브스타즈의 서비스를 이어갈 수 있게 됐다. 현재도 게임위와 스카이피플의 행정소송은 진행 중이다.
 
게임업계는 소송 결과에 대해 예의 주시하고 있다. 현재 블록체인 게임 개발에 공을 들이고 있는 위메이드 등 여러 게임사는 국내 출시를 포기한 채 해외에만 게임을 출시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 출시 불확실성 속에서도 국내 게임사들은 P2E 게임에 도전장을 내밀고 있다. 콘솔에서 PC, PC에서 모바일로 이어진 흐름 속에서 향후 P2E가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를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해 장현국 위메이드 대표는 부산 벡스코 제1전시장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기자회견을 통해 “P2E 모델은 위메이드가 먼저 한 것은 아니며, 세상이 변해가는 거대한 흐름이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플레이댑 신과함께 이미지 [사진 플레이댑]

컴투스·카카오게임즈 등 블록체인 게임 뛰어들어

현재 가장 공격적으로 세를 확장하고 있는 것은 위메이드의 ‘위믹스’ 연합이다. 위메이드는 내년까지 100개 이상의 게임을 위믹스 플랫폼에 온보딩 할 계획이다. 위메이드는 NHN, 룽투코리아, 달콤소프트, 액션스퀘어, 조이시티, 슈퍼캣 등과 위믹스 플랫폼 관련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원조 모바일게임사 컴투스홀딩스(구 게임빌)와 컴투스도 최근 NFT 시장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다. 컴투스홀딩스는 지난 4월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원’에 312억원 규모의 전략적 투자를 진행했고, 9월에는 539억원을 추가로 투자해 아예 코인원의 2대주주로 올라섰다.
 
컴투스홀딩스는 코인원과 협력관계를 공고히 하며 새로운 시장으로 다가오는 블록체인 게임, NFT 거래소 등 다양한 연관 사업 기회를 만들어갈 예정이다. 아울러 내년 1분기 중 자체 토큰인 ‘C2X(가칭)’를 발행할 계획이다. C2X에는 ‘서머너즈 워: 크로니클’을 비롯해 ‘거상 M 징비록’, ‘크리티카’ 등이 최근 합류했다.
 
위메이드와 마찬가지로 C2X 생태계를 확장하는 데 사활을 걸겠단 입장이다. 컴투스도 최근 블록체인 게임회사 ‘애니모카브랜즈’와 NFT 전문기업 ‘캔디 디지털’, 미국 블록체인 플랫폼 기업 ‘미씨컬 게임즈’ 등에 전략적 투자를 진행했다.
 
카카오게임즈는 지난 3분기 실적발표에서 공개한 주주서한을 통해 NFT 시장 본격 진출을 알렸다. 카카오게임즈 측은 “스포츠, 게임 및 메타버스에 특화된 NFT 거래소를 현재 프렌즈게임즈에서 개발 중에 있다”며 “해당 거래소에서는 우리 사업에서 이미 사용되고 있는 골프 티타임 예약권과 게임 아이템, 아이돌의 팬아트 등이 디지털 자산화돼 판매될 수 있을 것이며 이 외에도 더욱 다양한 디지털 자산들을 거래대상으로 확대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앞서 카카오게임즈는 지난해 12월 블록체인 기술업체이자 ‘보라’ 코인 발행사인 웨이투빗 주식 약 28만주(45.8%)를 획득하며 최대주주로 올라선 바 있다. 이후 카카오게임즈는 지난 5월 웨이투빗과 또 다른 자회사인 프렌즈게임즈를 합병했다.
 
‘뮤’ 지적재산권(IP)으로 유명한 웹젠은 최근 3분기 실적발표에서 NFT 시장에 도전하겠단 뜻을 내비쳤다. 웹젠 관계자는 “해외 게임 시장에서 그 사업성을 인정받은 NFT 등의 블록체인 기술을 우선 사업대상으로 정하고 사례분석 및 관련 산업계와의 협의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블록체인 서비스 플랫폼 플레이댑도 ‘신과함께’ P2E 서버 출시를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다. 플레이댑은 상장 절차가 까다롭기로 유명한 코인베이스에 이어 최근 바이낸스에 입성하면서 프로젝트 경쟁력을 입증했다. 현재까지 국내 프로젝트로 코인베이스, 바이낸스, 업비트에 동시 상장된 곳은 플레이댑이 유일하다.  
 
플레이댑은 최근 세계 최대 규모의 NFT 컨퍼런스인 ‘NFT.NYC’에서 한국 프로젝트로는 유일하게 강연에 나서 많은 주목을 받았다.  정상원 플레이댑 사업총괄은 “P2E 모델을 접목한 ‘신과함께’ 서버 오픈 이후 동남아와 라틴아메리카에서만 수만명의 신규 이용자가 발생하고 있다”며 “그 결과 신과함께는 지난달 같은 기간 대비 DAU(일일 활성 이용자 수)는 1507% (약 15배)가 증가했고, 인게임 매출 역시 동기간 대비 2239% (약 22.4배) 상승했다”고 밝혔다.

원태영 기자 won.taeyoung@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무죄판결에도 무거운 책임감”…떨리는 목소리로 전한 이재용 최후진술은

2中 “엔비디아 중국에서 뿌리내리길”…美 반도체 규제 속 협력 강조

3충격의 중국 증시…‘5대 빅테크’ 시총 한 주 만에 57조원 증발

4이재용 ‘부당합병’ 2심도 징역 5년 구형…삼성 공식입장 ‘無’

5격화하는 한미사이언스 경영권 갈등…예화랑 계약 두고 형제·모녀 충돌

6“이번엔 진짜다”…24년 만에 예금자보호 1억원 상향 가닥

7로앤굿, 국내 최초 소송금융 세미나 ‘엘피나’ 성료

8카드사들, 후불 기후동행카드 사전 신청받는다…사용은 30일부터

9카카오페이증권, 간편하고 편리한 연금 관리 솔루션 출시

실시간 뉴스

1“무죄판결에도 무거운 책임감”…떨리는 목소리로 전한 이재용 최후진술은

2中 “엔비디아 중국에서 뿌리내리길”…美 반도체 규제 속 협력 강조

3충격의 중국 증시…‘5대 빅테크’ 시총 한 주 만에 57조원 증발

4이재용 ‘부당합병’ 2심도 징역 5년 구형…삼성 공식입장 ‘無’

5격화하는 한미사이언스 경영권 갈등…예화랑 계약 두고 형제·모녀 충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