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얀센, 오미크론 전혀 못 막아…미국서는 화이자·모더나 권장

얀센, 남아공 대학 연구 결과 오미크론 항체 없어
미 CDC 자문위 “얀센보다 화이자·모더나 접종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모더나(왼쪽부터)·존슨앤드존슨·화이자 백신. [REUTERS=연합뉴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인 얀센이 코로나19 새 변이인 오미크론에 대해 중화항체를 아예 생성하지 못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블룸버그통신의 15일(현지시각) 보도에 따르면, 남아프리카공화국 요하네스버그의 위트워터스랜드 대학 연구진이 백신 접종자의 혈장으로 항체형성을 실험했다. 그 결과 미국 제약사 존슨앤존슨의 얀센 백신(1회 접종) 접종자의 ‘항체가 기하평균(GMT)’이 기존 코로나19 바이러스에 대해 303을 기록했다. 하지만 오미크론 변이에 대해서는 아예 감지되지 않았다. ‘항체가 기하평균’은 항체량 측정값의 기하평균의 뜻으로 항체가 형성되는 정도를 비교하는 수치다. 
 
화이자 백신 2회 접종자의 GMT는 기존 코로나19 바이러스에 대해 1419로 나왔으나, 오미크론에 대해서는 80에 그쳤다. 오미크론 항체 형성률이 기존 바이러스와 비교해 약 17분의 1 수준에 불과한 것이다. 
 
이 같은 상황에서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의 자문위원회는 16일(현지시각) 신종 코로나19 백신으로 얀센보다 화이자·모더나 백신의 접종을 우선 선택할 것을 권고했다. 로이터통신은 CDC의 외부 자문기구인 예방접종자문위원회(ACIP)는 이날 회의에서 얀센 백신 접종 후 드물게 발생한 혈소판 감소성 혈전증(TTS)을 이유로 위원 15명의 만장일치로 이렇게 결정했다고 보도했다.
 
얀센 백신이 다른 두 백신보다 코로나19 감염 예방 효과가 낮다는 의미다. 그러나 자문위 권고가 얀센 백신의 접종을 아예 중단하라는 것은 아니다. 로셸 월렌스키 CDC 국장은 이 권고를 받아들일지를 결정해야 한다. 미 방역당국이 자문위 의견을 수용하면 다른 국가의 백신 접종 행태에도 영향을 미칠 가능성에 제기된다.

강필수 기자 kang.pilsoo@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美에 바둑판 짜는 정의선...‘포석’ 깔고 ‘집’ 짓는 현대차그룹

2뉴욕증시, 美 상호관세 충격에 팬데믹 이후 최악…나스닥 6%↓

3뉴욕유가, 트럼프 관세 폭탄에 경기침체 우려로 급락…WTI 6.6%↓

4“삼성, 中 연 매출만 64조원”...이재용, ‘가전→전장’ 공략으로 새 中드라이브

5만원대 청바지로 홀렸다...이랜드 패션 야심작 'NC베이직' 초반 순항

6챗GPT의 '지브리 그림체' 유행이 씁쓸한 이유

7한국 관세 행정명령 부속서엔 25% 아닌 26%…백악관 "부속서 따라야"

8'펭리둥절' 남극에도 트럼프 관세?…"안전한 곳 없어"

9경북도, 산불피해 농어촌에 긴급자금 200억 지원

실시간 뉴스

1美에 바둑판 짜는 정의선...‘포석’ 깔고 ‘집’ 짓는 현대차그룹

2뉴욕증시, 美 상호관세 충격에 팬데믹 이후 최악…나스닥 6%↓

3뉴욕유가, 트럼프 관세 폭탄에 경기침체 우려로 급락…WTI 6.6%↓

4“삼성, 中 연 매출만 64조원”...이재용, ‘가전→전장’ 공략으로 새 中드라이브

5만원대 청바지로 홀렸다...이랜드 패션 야심작 'NC베이직' 초반 순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