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얀센, 오미크론 전혀 못 막아…미국서는 화이자·모더나 권장

얀센, 남아공 대학 연구 결과 오미크론 항체 없어
미 CDC 자문위 “얀센보다 화이자·모더나 접종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모더나(왼쪽부터)·존슨앤드존슨·화이자 백신. [REUTERS=연합뉴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인 얀센이 코로나19 새 변이인 오미크론에 대해 중화항체를 아예 생성하지 못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블룸버그통신의 15일(현지시각) 보도에 따르면, 남아프리카공화국 요하네스버그의 위트워터스랜드 대학 연구진이 백신 접종자의 혈장으로 항체형성을 실험했다. 그 결과 미국 제약사 존슨앤존슨의 얀센 백신(1회 접종) 접종자의 ‘항체가 기하평균(GMT)’이 기존 코로나19 바이러스에 대해 303을 기록했다. 하지만 오미크론 변이에 대해서는 아예 감지되지 않았다. ‘항체가 기하평균’은 항체량 측정값의 기하평균의 뜻으로 항체가 형성되는 정도를 비교하는 수치다. 
 
화이자 백신 2회 접종자의 GMT는 기존 코로나19 바이러스에 대해 1419로 나왔으나, 오미크론에 대해서는 80에 그쳤다. 오미크론 항체 형성률이 기존 바이러스와 비교해 약 17분의 1 수준에 불과한 것이다. 
 
이 같은 상황에서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의 자문위원회는 16일(현지시각) 신종 코로나19 백신으로 얀센보다 화이자·모더나 백신의 접종을 우선 선택할 것을 권고했다. 로이터통신은 CDC의 외부 자문기구인 예방접종자문위원회(ACIP)는 이날 회의에서 얀센 백신 접종 후 드물게 발생한 혈소판 감소성 혈전증(TTS)을 이유로 위원 15명의 만장일치로 이렇게 결정했다고 보도했다.
 
얀센 백신이 다른 두 백신보다 코로나19 감염 예방 효과가 낮다는 의미다. 그러나 자문위 권고가 얀센 백신의 접종을 아예 중단하라는 것은 아니다. 로셸 월렌스키 CDC 국장은 이 권고를 받아들일지를 결정해야 한다. 미 방역당국이 자문위 의견을 수용하면 다른 국가의 백신 접종 행태에도 영향을 미칠 가능성에 제기된다.

강필수 기자 kang.pilsoo@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갤럭시, 접고 끼고 AI 장착…‘언팩 초대장’ 보낸 삼성전자, 링·폴드·플립 공개

2이복현 “상속세·금투세 등 의견 피력…하반기 ‘골든타임’”

3토스뱅크·광주은행, 올해 3분기 ‘공동대출’ 출시

4연세의대 교수비대위 27일부터 '무기한 휴진'

5‘롯데 3세’ 신유열 시대 열린다...日 지주사 사내이사로

6M캐피탈 구원투수 나선 메리츠증권…평가 엇갈린 배경은

7우리금융, 1년 3개월간 금융사고 9건 발생

8경제 3단체 “주주가치 제고와 균형있는 제도 개선 방안 모색해야”

9한은 “자영업자 취약차주 비중 12.7%…채무재조정 필요”

실시간 뉴스

1갤럭시, 접고 끼고 AI 장착…‘언팩 초대장’ 보낸 삼성전자, 링·폴드·플립 공개

2이복현 “상속세·금투세 등 의견 피력…하반기 ‘골든타임’”

3토스뱅크·광주은행, 올해 3분기 ‘공동대출’ 출시

4연세의대 교수비대위 27일부터 '무기한 휴진'

5‘롯데 3세’ 신유열 시대 열린다...日 지주사 사내이사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