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일반
'전기차' 중심 R&D본부 조직개편...현대차그룹, 전동화 전환 박차
- R&D본부 내 '엔진개발센터' 명칭 사라지고, 배터리개발센터는 신설

24일 현대차그룹에 따르면 지난 17일 R&D본부는 파워트레인담당 조직을 '전동화개발담당'으로 변경하고, 배터리개발센터를 신설하는 등의 내용이 담긴 연구소 조직 개편을 단행했다. 이번 개편으로‘엔진개발센터’는 사라지게 됐다. 엔진개발센터 산하 조직들은 R&D본부 내 전동화설계센터 등으로 옮긴다.
현대차 관계자는 “조직 개편이 있었고, 엔진개발센터가 없어진 것은 맞다”면서도 “엔진개발센터라는 명칭이 사라진 것일 뿐 산하 개발 부서들이 다른 곳으로 배치가 된 상황”이라고 말했다. 또 “기존 내연기관 엔진 연구개발은 계속 진행된다”고 설명했다.
신설된 배터리개발센터 산하에는 배터리설계실과 배터리성능개발실, 배터리선행개발실 등이 만들어진다. 현대차 R&D본부에서 파워트레인(동력전달장치)이라는 명칭도 사라지게 됐다. 대신 파워트레인시스템개발센터는 전동화시험센터로, 파워트레인성능개발센터는 전동화성능개발센터로, 파워트레인지원담당은 전동화지원팀으로 각각 명칭이 변경됐다.
현대차그룹은 프로젝트매니지먼트(PM) 담당과 제품통합개발 담당 조직도 통합했다. 전체적으로 개발을 관리하는 PM과 설계·성능개발·시험 등 실제 개발 업무를 맡는 조직을 하나로 묶어 의사소통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것이라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연구개발본부의 센터 2∼6개를 총괄하는 담당급 조직을 여럿 폐지하고, 센터 단위로만 개편해 의사 결정 단계도 줄일 방침이다.
새로 R&D본부장을 맡게 된 박정국 사장은 임직원에게 이메일로 보낸 연말 인사에서 "급변하는 시장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의사결정을 효율화하고 적극적인 전동화를 추진한다"며 개편 취지를 설명했다. 박 사장은 “과거의 큰 자산을 미래의 혁신으로 이어가기 위해 '엔진-변속기-전동화 체계'를 '설계-시험 중심 기능별 체계'로 변경한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대차그룹, 2026년까지 글로벌 전기차 판매 목표 '100만대→170만대'

자동차 업계에서는 이번 연구개발 R&D조직 개편에 대해 그룹의 전동화 전환 의지가 반영됐다는 해석이 나온다. 실제 R&D본부의 변화는 현대차그룹이 그동안 발표해온 전동화 전환 목표와도 결이 같다.
현대차그룹은 전기차 판매 목표치를 높이는 전동화 시대에 대비하고 있다. 장재훈 현대자동차 사장은 지난 21일 미국 자동차전문지 오토모티브뉴스와의 인터뷰에서 "현대차그룹은 2026년 글로벌 전기차 판매 목표를 다시 논의해 100만 대에서 170만 대로 늘렸다"고 밝힌 바 있다.
이는 현대차, 기아, 제네시스 전기차 판매 목표를 모두 합한 수치다. 앞서 현대차는 2025년까지 전기차 56만대, 기아는 2026년까지 전기차 50만대 판매를 목표로 세운 바 있는데 목표치가 더 높아진 셈이다. 내년에는 현대차 프리미엄 브랜드 제네시스의 전용 전기차 모델 GV60 판매를 본격화하고, GV70 전동화 모델, 기아 신형 니로EV 등을 새로 출시하면서 현대차그룹의 전동화 전략은 가속화할 전망이다.
임수빈 기자 im.subin@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고영, 美신경외과학회서 뇌 수술용 의료로봇 ‘지니언트 크래니얼’ 첫 공개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이데일리
팜이데일리
이데일리
서유리 "혹시 누가 해코지할까 봐…" 무슨 사연?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트럼프 또 물러섰다…車관세 완화 어떻게 달라지나[Q&A]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SK실트론, PEF들 눈치싸움…국적·업황 리스크에 '셈법 복잡'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코스닥 상승 이끈 비만 테마주의 힘…천당·지옥 오간 오름[바이오맥짚기]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