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
“새해부터 기본 배달료 오른다”…배보다 큰 배달비 '2만원 시대' 성큼
- [‘23조’ 배달시장, 이대로 괜찮나②] 배달료 무엇이 문제?
배달경쟁 심화로 기본료 껑충…자영업자·소비자 모두 피해
“배달대행료 2~3배 더 뛸 것”…기형적인 악순환 구조 원인

코로나 팬데믹 속 배달 시장이 급성장하면서 라이더 모시기 경쟁이 치열해졌고 이로 인해 배달비가 높게 치솟고 있다. 치솟은 배달료는 소상공인은 물론 소비자에게도 부담이 전가되면서 배달 시장을 흔들고 있다. 자영업자는 배달료에 대한 부담을 음식 메뉴 혹은 배달팁 인상이라는 최후의 수단을 선택할 수밖에 없고, 이 피해는 고스란히 소비자가 떠 앉는 악순환이 일어나고 있는 것이다. 배달료는 지난 5년간 무려 2배가량 인상된 것으로 분석된다.
배달기사 부족한 데 수요는 폭증 가격만 쑥쑥


배민 측은 이번 변경으로 소비자, 자영업자 부담이 늘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배민이 변경한 배달료의 경우 회사가 라이더에게 지급하는 비용으로 자영업자와 소비자들이 부담하는 배달팁에는 변동이 없다는 설명이다. 또 경쟁사인 요기요와 쿠팡이츠 등은 이미 실거리 기준의 배달료를 측정해온 상황. 직선거리가 기준이 된 업체는 배민이 유일했다.
주말할증 500원에 고층할증까지 배달료 1만원 시대
공휴일할증 500원을 추가한다거나 우천할증·야간할증·아파트 고층할증 등 추가인상요인들이 즐비하다. 실제 몇 주 전 폭설과 한파가 겹친 주말 일부 지역 라이더들에게 지급되는 배달료가 1만원까지 치솟았다. 한 지역에선 단건 배달비로 2만원을 받는 경우도 있었다.

또 다른 점주도 “재료비에 인건비, 임대료, 중개수수료에 배달료까지 내고 나면 남는 게 없다”면서 “오히려 팔면 팔수록 적자만 쌓이는 구조”라고 덧붙였다.
일각에선 이러한 기형적 구조를 원인으로 ▶배달대행업체들의 배달료 인상 담합 ▶자영업자들이 막대한 피해를 보면서도 파격 ‘무료배달’ 이벤트를 내거는 등의 각종 부작용이 속출하고 있다. 배달 플랫폼업체들도 배달하면 할수록 손해 보는 구조가 이어진 지 오래다.
업계 관계자는 “배달시장 구조와 배달료 문제가 관리 사각지대 아래 놓여 기형적으로 성장해 오면서 이권 다툼과 부작용이 나오고 있다”면서 “새해에도 배달료는 계속해서 오를 것으로 예상되는데 정부와 관계부처가 나서지 않으면 해결이 어려운 상황으로 치닫고 있다”고 우려했다.
김설아 기자 kim.seolah@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많이 본 뉴스
MAGAZINE
MAGAZINE
Klout
Klout
섹션 하이라이트
섹션 하이라이트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 모아보기
- 일간스포츠
- 이데일리
- 마켓in
- 팜이데일리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50억 도쿄집’ 추성훈, 3000만 현금 들고 다니는 ‘플렉스’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이데일리
이데일리
김종민·에일리·심현섭, 오늘(20일) 결혼… 연예인 하객들 바쁘겠네 [왓IS]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1만원대 맞아?” BBQ 치킨에 짬뽕 무한리필 끝판왕 뷔페[먹어보고서]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한화에어로 유증 여전히 물음표…또 제동 걸렸다[위클리IB]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국내 TPD 회사는 저평가 되었나…당면한 숙제는 '임상'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