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일반
국민 10명 중 4명 “올해 집값 떨어진다”…연령대 높을수록 부정적 전망
- 직방 온라인 설문조사, 국민 43.4% 집값 하락 VS 38.8% 집값 상승 예상

3일 부동산 플랫폼 회사 직방이 공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설문에 참여한 응답자 중 43.4%는 “2022년 거주지역의 주택 매매 가격을 어떻게 예상하느냐”는 물음에 “하락할 것”이라고 답했다. “상승할 것”이라고 답한 응답자 비율은 38.8%였다. 이번 조사는 직방이 지난달 6~20일 직방 어플리케이션 접속자 1236명을 대상으로 실시했다.
집값 하락을 전망한 이유론 ‘현재 가격 수준이 높다는 인식(32.6%)’이 가장 많이 꼽혔다. 이밖에 금리 인상으로 인한 부담(24.2%), 부동산 대출 규제 강화에 따른 부담(18.8%), 코로나19로 인한 경기 불안 지속(6.5%), 대선·지방선거 공약(6.1%) 등도 집값 하락 요인으로 꼽혔다.
상승론자 사이에선 ‘신규 공급 물량 부족(22.5%)’을 집값 상승 요인으로 꼽은 응답자가 가장 많았다. 전·월세 상승 부담으로 인한 임차 수요의 매수 수요 전환(18.8%)과, 교통·정비사업 등 개발 호재(14.2%), 대선·지방선거 공약(11.3%)이 뒤를 이었다.
설문조사에 따르면 전반적으로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하락론이 우세했다. 40대 이상 응답자 중엔 하락 전망이 더 많았지만 30대 이하에선 상승론이 하락론을 앞섰다.
지역별로는 서울(하락 47.6%)과 비수도권(하락 45.8%)에선 하락론이, 경기(상승 42.8%)·인천(상승 43.0%)이 우세했다. 주택 소유 여부 별로 보면 유주택자 가운데는 상승을 전망한 사람이, 무주택자 가운데는 하락을 전망한 사람이 많았다.
전세시장 전망에서는 응답자 46.0%가 상승을, 30.6%가 하락을 예상했다. 전세 시장에 관해선 지역이나 연령에 상관없이 상승론이 하락론을 앞섰다.
전셋값 상승 요인으론 ‘전세 공급 부족(37.3%)’이 가장 많이 꼽혔고 이어 ‘매매가격 상승 부담으로 인한 전세 수요 증가(22.0%)’와 ‘계약 갱신 청구권 소진 매물이 출회에 따른 임대료 인상 우려(17.9%)’가 그 뒤를 이었다.
김정훈 기자 kim.junghoon2@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K2 전차 추가 수출 '9조 잭팟'…李정부 첫 대형 방산수출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
'송하윤 학폭 논란' 최초 유포자, 수사엔 불응…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영끌족' 돈줄 끊겼다…수십억 '계약파기' 속출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코리아디스카운트’ 부추기는 공시 간소화?…정보 불균형 심화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항생제 사업에 힘싣는 JW중외제약…왜?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