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김밥·삼겹살·짜장면까지 올랐다…외식 물가 13년 만에 최고

1월 외식물가, 최저임금·식자재값 인상에 13년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 기록

 
 
손님이 거의 없는 서울 종로구 광장시장의 한 식당 모습. [연합뉴스]
지난 1월 외식 물가가 약 13년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식자재값과 최저임금 인상에 따라 김밥, 라면, 삼겹살도 큰 폭으로 오르면서 외식 부담이 커졌다. 당분간 이런 상승세가 계속될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 나온다. 
 
6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1월 외식 물가지수 상승률(전년 동월 대비)은 5.5%로 2009년 2월(5.6%) 이후 12년 11개월 만에 가장 높았다. 갈비탕(11.0%), 생선회(9.4%). 소고기(8.0%) 등을 비롯한 39개 외식 품목 물가가 일제히 1년 전보다 올랐다. 서민들이 즐겨 찾는 김밥(7.7%), 햄버거(7.6%), 설렁탕(7.5%), 라면(7.0%), 짜장면(6.9%), 치킨(6.3%), 삼겹살(5.9%), 돈가스(5.7%) 등의 물가도 큰 폭으로 상승했다. 지난해까지 인상이 억제됐던 커피마저 올해 1월에는 작년 같은 달보다 1.6% 올랐다.
 
이런 외식물가 인상은 식자재 가격 급등과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인건비 상승, 수요 확대 등이 종합적으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달 농축산물 물가는 6.3% 올랐다. 지난해 12월(7.8%)보다는 오름폭이 축소됐지만, 여전히 높은 상승률이다. 
 
'집밥 물가'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가공식품 물가도 4.2% 올라 2014년 8월(4.5%) 이후 7년 5개월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세부 항목을 보면 밀가루가 작년 동월 대비 12.1% 올랐고 국수(27.8%), 식용유(14.4%), 우유(6.6%), 어묵(6.6%), 햄 및 베이컨(5.2%) 등도 많이 올랐다. 가공식품 가격이 급격하게 상승하면서 외식 물가는 물론 집밥 물가까지 밀어 올려 서민 생활에 부담은 커졌다. 
 
지난해 물가 상승은 유가 급등 등 대외적인 공급 요인에 기인했다면 올해는 서비스 물가, 근원물가 등 대내적인 상승 압력도 확대되고 있다.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지수)는 지난달 3.0% 올랐다. 정부는 2월에도 외식 등 개인 서비스와 가공식품 상승세가 지속되면서 전체 소비자물가지수에 상승 압력을 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김영은 기자 kim.yeongeun@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불닭, ‘매운 강도 심했나’…덴마크 리콜에 검색량 폭주

2테슬라 방전에 40도 폭염 속 20개월 아기 갇혀…“외부서 열리지 않았다”

3서울 아파트 1채, 지방 아파트 3채보다 더 비싸

4“의사 선생님, 삶이 너무 덧없습니다”…나는 이렇게 답했다

5‘대박 행진’ 게임 ‘나혼렙’으로 본 IP 확장성

6하이브의 큰 그림…아티스트 대신 ‘스토리 IP’에 집중

7IP 확장의 힘…‘美 상장’ 마지막 퍼즐 맞춘 네이버웹툰

81125회 로또 1등 ‘6·14·25·33·40·44’

9범의료계 특위 첫 회의…의정협의 참여 가능성 대두

실시간 뉴스

1불닭, ‘매운 강도 심했나’…덴마크 리콜에 검색량 폭주

2테슬라 방전에 40도 폭염 속 20개월 아기 갇혀…“외부서 열리지 않았다”

3서울 아파트 1채, 지방 아파트 3채보다 더 비싸

4“의사 선생님, 삶이 너무 덧없습니다”…나는 이렇게 답했다

5‘대박 행진’ 게임 ‘나혼렙’으로 본 IP 확장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