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DL이앤씨 업계 최고 실적 힘입어 올해 정비사업 도약할까

도시정비 수주, 2021년 1조1915억원…전년 대비 57% 감소

 
 
남서울무지개아파트 재건축 사업 조감도. [사진 DL이앤씨]
DL이앤씨가 작년 건설업계 최대 영업이익을 달성한 가운데, 올해 도시정비사업에서도 도약할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DL이앤씨는 잠정 실적발표를 통해 연결기준 2021년 매출 7조6287억원, 영업이익 9567억원이 예상된다고 지난 27일 공시했다. DL이앤씨는 “작년 영업이익은 경영 목표치 물론, 시장의 실적 전망치를 웃도는 건설업계 최대 규모”라며 “영업이익률 또한 12.5%로 건설업종 최고 수준”이라고 밝혔다.  
 
앞서 DL이앤씨는 작년 초 연결기준 매출 7조8000억원, 영업이익 8300억원의 경영 목표를 제시한 바 있다. 매출은 목표 대비 98% 수준이지만 영업이익은 1267억원을 초과 달성했다. 원자재 가격 급등과 인건비 인상 등 악재를 수익구조와 원가관리 능력으로 극복했다는 설명이다.  
 
신규 수주는 지난해 10조5433억원을 기록하며, 연초 연간 목표액(11조5000억원)에 근접하는 성과를 거뒀다. 하지만 신규수주에서 주택부문은 다소 부진한 성적표를 거뒀다. DL이앤씨(연결기준) 주택 부문 수주 실적은 지난해 6조8877억원으로 지난 2020년 8조2769억원원에서 17% 감소했다.  
 
이는 주택부문 수주 실적에서 도시정비가 반토막이난 영향이 컸던 것으로 보인다. 실제 2021년 도시정비 수주액은 1조1915억원으로 2020년 2조7428억원에서 57%나 감소했다. 일반도급도 3조5688억원으로 전년(4조5877) 대비 22% 감소했다. 반면 디벨로퍼는 2조1274억원으로 전년(9464억원) 대비 125% 늘었다.  
 
실제 DL이앤씨는 작년 도시정비사업에서 시공권 해지 1위라는 불명예를 안았다. 작년 DL이앤씨는 도시정비사업 8개 구역에서 시공사의 권한을 잃었기 때문이다.  
 
이는 작년 시공사 지위를 잃은 건설사 중 가장 많은 수치다. 상반기 6건, 하반기 2건이다. 상반기에는 ▶인천 주안10구역 재개발 ▶창원 마산회원2구역 재개발 ▶부산 범천4구역 재개발 ▶부산 서금사5구역 재개발 ▶광주 광천동 재개발 ▶청주 사직1구역 재개발 사업에서 시공사 권한이 해지됐다. 하반기에는 서울 지역에서 시공권을 잃었다. 강남 3구 중 하나인 서초 방배6구역과 중구 신당8구역에서 조합과의 시공사 계약이 어그러졌다.
 
특히 서울 강남권 공급이 부족한 상황에서 대어로 꼽히는 방배6구역의 시공사 지위 해지는 뼈아픈 실책이 됐다. 앞서 DL이앤씨는 방배6구역에 자사의 하이엔드 브랜드인 ‘아크로’를 내세우며 수주에 성공했다. 하지만 착공을 앞두고 시공사와 조합 간 공사비 증액과 특화 설계에 대한 의견 대립의 문제로 갈등이 깊어졌고, 결국 시공권을 상실했다.  
 
신당8구역은 e편한세상 브랜드 대신 아크로의 적용을 요구하는 조합과의 갈등이 깊어지면서 시공권을 잃었다. 이밖에 주안10구역은 조합과의 공사비 증액에 대한 견해차 등으로 DL이앤씨의 시공사 지위가 해지됐다. 업계에서는 DL이앤씨가 당초 무리한 조건으로 시공권 확보에 나선 것이 아니냐는 시선을 보내기도 했다.  
 
도시정비사업에서 잇단 시공권 해지는 작년 건설업계의 국내 주택사업이 활황이었던 터라 더욱 아쉬운 모습이다. 작년 정비사업 시장은 오세훈 서울시장이 관련 규제완화를 추진하면서 시장분위가 고조됐다. 재건축·재개발 등 정비사업을 추진하는 단지가 늘면서 치열한 수주전도 이어졌다. 
 
여기에 상대적으로 규제가 덜한 주거환경개선사업, 리모델링 시장까지 판이 커졌다. 실제 작년 건설사들은 정비사업에서 그야말로 호실적을 기록했다. 건설업계에 따르면 2021년 시공능력 10대 건설사의 도시정비사업부문 수주 실적 합산액은 약 28조원으로 2020년 18조6000억원을 크게 상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비업계에서는 작년 총 8건의 시공권 상실로 DL이앤씨의 도급순위가 하락할 수 있다는 전망을 내기도 했다. 작년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건설사 도급순위에서 DL이앤씨는 평가액 6조4992억원으로 8위를 기록했다.
 
DL이앤씨 관계자는 “지금 회사가 수익률이 좋은 편이다. 물론 도시비정도 적극적으로 하고 있는데, 이번에 좀 낮아졌던 거는 연말에 이연된 사업들이 좀 있다”며 “자체적인 전략은 주택 같은 경우 디벨로퍼 사업들을 많이 하고 있다. 자체 기획, 땅 투자, 시공도 하고 이런 쪽에 더 집중을 하고 확대한다고 보면 된다”고 말했다.  
 
한편 DL이앤씨는 올해 첫 정비사업을 서울서 따냈다. 서울시 금천구 시흥동 109-1번지 일대에 위치한 남서울무지개아파트 재건축 사업 시공사로 선정됐다. 수주금액은 2444억원 규모다.  
 

이승훈 기자 lee.seunghoon@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출산율 감소 걱정’ 머스크, 회사 임원과 3번째 아이 또 출산

2불닭, ‘매운 강도 심했나’…덴마크 리콜에 검색량 폭주

3테슬라 방전에 40도 폭염 속 20개월 아기 갇혀…“외부서 열리지 않았다”

4서울 아파트 1채, 지방 아파트 3채보다 더 비싸

5“의사 선생님, 삶이 너무 덧없습니다”…나는 이렇게 답했다

6‘대박 행진’ 게임 ‘나혼렙’으로 본 IP 확장성

7하이브의 큰 그림…아티스트 대신 ‘스토리 IP’에 집중

8IP 확장의 힘…‘美 상장’ 마지막 퍼즐 맞춘 네이버웹툰

91125회 로또 1등 ‘6·14·25·33·40·44’

실시간 뉴스

1‘출산율 감소 걱정’ 머스크, 회사 임원과 3번째 아이 또 출산

2불닭, ‘매운 강도 심했나’…덴마크 리콜에 검색량 폭주

3테슬라 방전에 40도 폭염 속 20개월 아기 갇혀…“외부서 열리지 않았다”

4서울 아파트 1채, 지방 아파트 3채보다 더 비싸

5“의사 선생님, 삶이 너무 덧없습니다”…나는 이렇게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