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일반
"문란하니 걸러라" 양양에서 무슨 일?…칼 빼들었다

지난 12일 양양군은 "최근 사회관계망서비스(SNS)와 온라인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양양을 겨냥한 동일한 문장 구조의 허위 게시물이 반복적으로 확산하고 있다"며 "조회수·추천 수가 비정상적으로 급증하는 등 조직적인 유포 정황도 포착됐다"고 전했다.
이들 게시물에는 '양양이 성적으로 문란하다', '마약을 한다', '노출 남녀가 해변에서 문란하게 논다' 등 근거 없는 내용이 담겼다. 최근 몇 년간 '양양에 놀러 가면 안 되는 이유', '양양 다녀오면 걸러라' 같은 자극적인 제목의 게시글과 영상이 온라인상에 다수 유포되며 지역 이미지를 훼손해온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서핑 문화로 알려진 양양의 해변을 '유흥 성지'로 묘사한 허위 게시물이 다수 게시됐다가 삭제되기를 반복했으며, 작성자들은 일정 시간이 지나면 게시글을 삭제하고 계정을 폐쇄하거나 잠적해 추적을 회피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러한 온라인 루머는 주민과 상인들에게 직접적인 생계 피해로 이어지고 있다. 군청에는 "사실과 다른 소문 때문에 손님이 줄어 생계가 위협받고 있다"는 신고가 이어지고 있는 추세다.
양양은 여름 성수기를 제외하면 관광객이 크게 줄어드는 지역 특성상, 허위 정보 확산이 관광업 전반에 치명타를 입히고 있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강원특별자치도 글로벌본부에 따르면 지난해 양양군 해수욕장을 찾은 피서객 수는 전년 대비 약 10% 감소한 69만1160명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동해시 등 인근 해수욕장은 피서객이 증가한 것과 대조되는 수치다. 서핑 숍, 음식점, 숙박업소 등 관광업종은 폐업 위기에 처한 상황으로 파악됐다.
이에 대해 양양군은 "관광 산업을 기반으로 살아가는 많은 군민이 근거 없는 온라인 루머로 생존권을 위협받고 있다"며 "더 이상 상황을 방치할 수 없다"고 판단, 유포자들을 명예훼손 및 업무방해 혐의로 형사 고발할 방침이다. 아울러 온라인 모니터링을 강화해 유사 사례 재발을 방지하고, 허위 정보 유포 행위에 대해 강력히 대응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양양군 관계자는 "관광산업에 기반을 둔 지역 특성상 온라인 루머는 군민들의 생존권을 직접적으로 위협한다"며 "허위 정보를 유포한 이들에게 끝까지 법적 책임을 묻겠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李대통령, 차관급 12명 인사…첫 여성 병무청장 포함 ‘실무형 전면 배치’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54세 늦둥이' 박수홍 "오래오래 살아야…"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李대통령, 차관급 12명 인사…첫 여성 병무청장 포함 ‘실무형 전면 배치’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이음·헬리오스…대형 PEF 자리 메꾸는 중소형 PEF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무상증자’ 현대바이오 상한가, FDA 허가 신청에 HLB생명과학도 강세[바이오맥짚기]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