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O UP | 김지완 BNK금융 회장] 수익 다변화 성공…‘1조클럽’도 눈앞
BNK금융 지난해 순익 7910억원…전년 동기 比 52%↑
비은행 계열사 순이익 급증하며 호실적 견인
금리 상승기 맞아 올해 첫 ‘1조클럽’ 달성도 가능할 듯

14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BNK금융의 지난해 당기순이익은 전년 동기(5193억원) 대비 52.3% 급증한 7910억원이다. 핵심인 은행 계열사들도 모두 호실적을 냈다. 부산은행의 당기순이익은 같은 기간 30.5% 증가한 4026억원, 경남은행은 40.1% 늘어난 2306억원을 기록했다.

이에 지난해 비은행 계열사의 순이익 증가율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BNK캐피탈의 지난해 순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85.3% 증가한 1332억원, BNK투자증권은 117.4% 급증한 1161억원, BNK저축은행은 29.5% 늘어난 215억원, BNK자산운용은 60.5% 증가한 122억원을 기록했다.
금융업계는 BNK금융이 올해 ‘1조클럽’을 달성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올 한해 순이익 증가율이 30%를 기록한다면 연말에 순이익이 1조원이 넘기 때문이다. 가계대출 규제와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 확산으로 대출 시장이 위축되고 있지만, 한국은행이 추가 금리 인상을 예고하고 있어 순이자마진 개선에 따라 이자이익이 크게 늘어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정성재 BNK금융그룹전략재무부문장은 이번 실적 발표와 관련해 “영업을 통한 순이익만 따져보면 2022년 실적이 역대 최대 규모”라며 “성과가 주주에게 돌아갈 수 있도록 배당성향 상향 등 주주환원정책을 지속 추진할 계획이다”라고 전했다.
이용우 기자 lee.yongwoo1@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코스피, 차익 매물에 하락세 '숨고르기'…8거래일 만
2원/달러 환율, FOMC 회의록에 강달러 뚜렷…1,441.1원
3벤처기업협회, 송병준 컴투스 의장 차기 회장으로 추천
4서울시, 옛 국립보건원 부지 매각 절차 본격 나선다
5법원 도착한 尹 대통령, '내란 혐의' 첫 형사재판… 오후 헌재 변론
6 尹, 서울중앙지법 도착… 곧 구속취소 심문 출석
7신규채용 비중 6년 만 최저 기록…제조업은 20% 첫붕괴
8롯데마트, 취약계층 식사 지원...임직원 끝전 기부
9멕시카나치킨, 수익성 중심의 안심 창업… ‘돈 되는 상권, 준비된 점주’와 함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