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동반성장대출, 코로나 이후 수요 급증했지만…시중은행 ‘모르쇠’

강민국 의원실 조사, 동반성장대출 취급 비중 기업은행 쏠려
시중은행 비중 10.6% 그쳐…SC·씨티·전북·제주 아예 상품 미취급

 
 
시중은행의 동반성장대출 취급 비중이 10%대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연합뉴스]
대기업 예치금을 활용해 중소 협력업체에 저리로 자금을 지원하는 동반성장대출이 코로나19 이후 급증하고 있지만, 대출실행이 기업은행 등 국책은행에 집중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을 강조하는 은행이 기업 상생대출에 소극적인 것은 모순적이라는 지적이다.
 
지난 20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강민국 국민의힘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받은 ‘동반성장대출상품 취급·판매 실적’ 자료에 따르면 2020년과 지난해 동반성장대출상품의 대출액은 각각 3조9208억원과 3조3853억원으로 조사됐다.
 
2019년 2조7549억원이었던 것을 고려하면 코로나19 이후 연간 6000억원 넘게 수요가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  
 
‘상생 대출’로도 불리는 동반성장대출은 대기업이 예치한 자금으로 은행이 협력업체 등 중소기업에 저리 대출을 제공하는 상품이다. 각 은행과 대기업의 협약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일반적인 기업대출보다 금리가 1∼2%포인트 낮은 것이 특징이다.
 
은행별 상생 대출 금액을 살펴보면 지난해 동반성장대출의 64.7%가 기업은행에서 집행됐고 산업은행과 지난해 12월 완전 민영화된 우리은행의 비중이 각각 20.3%와 4.4%였다.
 
민간은행의 비중은 10.6%밖에 되지 않았다. 2020년엔 8.7%로 더 적었다. SC제일은행, 씨티은행, 전북은행, 제주은행은 동반성장대출 상품을 취급하지도 않았다.
 
농협은행은 2017년부터 지난해까지 5년간 동반성장대출 규모가 1020억원으로 5대 은행 중 중 가장 적었다. 국민은행은 2018년부터 연간 400억대를 집행했다.
 
각 은행이 자체 자금을 보태 대출 재원 마련에 나선 액수도 차이가 있었다. 지난해 말 기준 하나은행은 대기업 예치금 5339억원에 비슷한 규모인 5023억원을 지원해 대출 재원으로 썼다. 반면 신한은행의 자체 재원은 462억원이 전부고, 7132억원은 대기업 예치금이었다. 올해 1월 1일 기준 신한은행 동반성장대출 재원 6835억원은 전부 기업 예치금인 것으로 나타났다.
 
농협은행도 연초 기준 동반성장대출 재원 중 자체 자금은 138억원이고 나머지 1595억원은 대기업 예치금이다.
 
이에 강 의원은 “국내 은행이 앞다퉈 ESG 경영을 내세우지만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상생을 유도하는 동반성장대출 취급에 나서지 않는 것은 모순적인 행태”라고 비판했다.  
 

김정훈 기자 kim.junghoon2@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 경제 삼중고...10월 생산 0.3%↓·소비 0.4%↓…투자까지 감소

2바이든 "트럼프, 멕시코·캐나다에 대한 관세 계획 재고하길"

3항공업계의 ‘아픈 손가락’ 中...‘파격’ 발표에 함박 미소

4'닥터 둠' 루비니 "자산 지키려면 비트코인 멀리해야"

5‘트럼프 2.0’에 빗장 푸는 中, 韓에 손 내민 속내는

6평행선 그리는 ‘의정갈등’...고래가 싸우자, 새우는 울었다

7‘검은 반도체’ 김 수출 역대 최고기록 달성…10억달러 수출 청신호

8이복현 "상법 개정보다 자본시장법 개정이 합리적"

9롯데, 해외 부실면세점 철수 검토…케미칼, 자산매각 추진

실시간 뉴스

1 경제 삼중고...10월 생산 0.3%↓·소비 0.4%↓…투자까지 감소

2바이든 "트럼프, 멕시코·캐나다에 대한 관세 계획 재고하길"

3항공업계의 ‘아픈 손가락’ 中...‘파격’ 발표에 함박 미소

4'닥터 둠' 루비니 "자산 지키려면 비트코인 멀리해야"

5‘트럼프 2.0’에 빗장 푸는 中, 韓에 손 내민 속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