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가수익·주주환원 동시 추구하는 총주주수익률 도입
향후 3년간 UAM·로보틱스 등에 최대 8조원 투자
투자 통해 기업가치 제고 및 주주이익 확대 계획

현대모비스가 주가 수익과 주주환원을 동시에 추구하는 주주가치 제고 정책을 발표했다. 선제투자를 통해 기업가치를 높여 주가를 올리는 동시에 주주환원으로 이어지는 선순환 체계를 구축하겠다는 계획이다.
현대모비스는 22일 ‘2022년 주주가치 제고 정책’을 통해 주가수익과 주주환원을 동시에 추구하는 총주주수익률(TSR, Total Shareholder Return) 기반 주주가치 극대화 추진 전략을 발표했다.
총주주수익률은 주식의 가치 변화와 배당에 더해 자기주식 처분과 같은 주주환원분을 종합 반영한 선진 기업평가 방식이다. 주주들의 수익률을 객관적으로 산출할 수 있어 대표적인 주주친화 정책으로 평가받는다.
국내에서는 극소수 상장기업만 총주주수익률을 활용하고 있다. 현대차그룹에서는 현대모비스가 처음으로 이를 도입한다.
주주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현대모비스는 우선 향후 3년간 도심항공교통(UAM)과 로보틱스 등 미래모빌리티 사업에 선제적으로 투자할 방침이다.
구체적으로 ▶반도체와 소프트웨어, 자율주행 등 외부 투자에 3~4조원 ▶전동화와 핵심부품 등 안정적인 부품공급을 위한 시설투자에 3~4조원 ▶글로벌 공급망 위기 대응 등 기업운영에 필요한 최소한의 현금 보유 등이다.
올해 배당은 기존 잉여현금흐름(FCF)의 20~40%에서 배당성향의 20~30% 수준에서 탄력적으로 운영할 계획이다. 배당성향은 순이익에서 주주들에게 얼마나 배당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다. 현재 실시하고 있는 중간배당도 계속 유지한다.
아울러 올해 3300억원 규모의 자기주식을 매입하고 이 가운데 625억원 상당의 주식은 소각한다. 현대모비스는 지난 3년간 9859억원을 들여 자기주식을 매입했고, 이중 이미 보유하고 있던 자기주식 200만주와 신규 매입한 73만4000주(1875억원 상당)를 소각한 바 있다. 현대모비스는 2019년 이후 자사주 소각을 비롯해 배당 등으로 총 2조6000억원에 달하는 주주환원 정책을 시행했다.
현대모비스는 경영시스템 선진화를 목적으로 신규 이사회 구성안도 제시했다.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는 지배구조 전문 사외이사로 김화진 서울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를 신규 추천했다. 김 교수는 기업지배구조와 회사법, 자본시장법 등 국내 기업지배구조 분야 전문가다.
현재 현대모비스 이사회는 김대수 고려대 경영학과 교수(물류·리스크), 장영우 영앤코 대표(주주추천 사외이사·재무회계), 강진아 서울대 공대 교수(경영·전략), 칼 토마스 노이만 이사(산업·기술) 등 다양한 성별과 국적, 전문성을 갖춘 사외이사가 활동하고 있다. 여기에 김 교수의 합류로 ESG 경영 방침은 더욱 힘을 받을 전망이다.
이사회 의결을 거친 이번 현대모비스의 주주가치 제고 정책은 다음 달 23일 열리는 제45기 정기주주총회에 상정되고 승인 시 바로 실시된다.
현대모비스 관계자는 “현대모비스의 주주가치 제고 정책은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 측면에서도 주목받고 있다”며 “주주 입장에서 기업가치를 한 단계 끌어올려 지배구조의 객관성과 투명성도 향상될 것”이라고 말했다.
허인회 기자 heo.inhoe@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심우정·신응석·양석조 등 검찰 수뇌부 '사의'…檢인사 임박(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팜이데일리
'이특 누나' 안타까운 소식…"아직 울컥해" 왜?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이러다 중국이 가장 먼저 탄소중립?' 농담 나오는 이유는…"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신평 3사, 롯데지주·롯데케미칼 신용등급 일제히 강등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4연상했던 에이비온, 29.75% 급락한 사연…유틸렉스 ‘강세’[바이오 맥짚기]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