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가상자산 세탁액 86억 달러…디파이 이용 비중 ↑
디파이 수신 비율 2%→17% 증가…전년比 1964% 폭증

블록체인 데이터 플랫폼 기업 체이널리시스는 23일 가상자산 범죄를 분석한 ‘2022 가상자산 범죄 보고서’의 일부인 ‘자금세탁’을 발표했다.

불법 주소에서 보낸 전체 자금 중 중앙화 거래소가 수신한 자금의 비중은 지난해 47%였다. 지난해 디파이 프로토콜이 수신한 비율은 2020년 2%에서 증가한 17%로 금액은 총 9억 달러(약 1조723억원)였다. 이는 전년 대비 1964% 증가한 규모다.

사이버 범죄 유형에 따라서도 자금 세탁의 집중도가 달랐다. 그중 스캠 및 다크넷 시장의 범죄 활동은 다른 범죄 유형보다 집중도가 떨어졌다. 이는 범죄 활동 유형 자체의 집중도가 떨어지는 것이 원인일 수 있으며, 자금이 더 많은 자금 세탁용 입금 주소로 분산돼서다. 또한 비트코인·이더리움·스테이블코인·알트코인 등 자산 종류에 따라서도 자금 세탁의 집중도가 달라졌다.
백용기 체이널리시스 한국지사장은 “가상자산의 역할을 파악하고 자금 세탁 수법을 이해하는 등 기존의 수사 방식에서 블록체인 분석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사례들을 통해 모든 범죄 수사관들은 가상자산과 블록체인 분석 이해의 중요성에 대해 알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윤형준 기자 yoon.hyeongjun@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국민의힘, ‘조희대·한덕수 회동’ 의혹 제기 서영교·부승찬 고발하기로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19살차 아내 죽으면 보험금으로…충격 사연은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단독]납부능력 없는 국민, 국세체납액도 5000만원까지 탕감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스타트업도 한류? 日고베시, 한국 스타트업 ‘정조준’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뜨거워지는 ‘ECM 스킨부스터’ 시장…호시절 끝나나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