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증시 부진에 IPO ‘꽁꽁’…“하반기 상장 나서는 기업 늘어날 듯”

올해 상장 16개 종목 중 8곳의 현재 주가는 공모가 밑돌아

 
 
최근 증시 부진으로 투자심리가 얼어붙으면서 기업공개(IPO)를 준비 중이던 기업들이 상장을 철회하거나 연기하는 일이 잇따르고 있다. [중앙포토]
 
최근 증시 부진으로 기업공개(IPO) 시장이 얼어붙고 있다. 7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이달 코스닥시장 상장을 앞두고 있던 신재생에너지 기업 대명에너지는 지난달 28일 상장을 철회했다. 지난 1월 23∼24일 기관 수요예측에서 다수 기관이 희망 공모가 범위(2만5000∼2만9000원) 하단을 밑도는 가격을 제시했기 때문이다.
 
대명에너지 측은 “최종 공모가 확정을 위한 수요예측을 했으나 회사의 가치를 적절히 평가받기 어려운 측면 등 여러 가지 여건을 고려해 일정을 취소한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 1월에도 현대엔지니어링이 상장 절차를 진행하다 같은 이유로 철회한 바 있다. 또 한국의약연구소, 파인메딕스, 미코세라믹스, 퓨처메디신 등 4곳은 상장예비심사 청구를 철회했다.  
 
올해 상장에 성공한 공모주들의 성적도 좋지 않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달 3일까지 유가증권시장·코스닥시장에 상장한 16개 종목(스팩 제외) 중 8개 종목이 4일 종가 기준 공모가를 밑돌고 있다. 이들 16개 종목의 평균 수익률은 20.12%로, 지난해 신규 상장 기업(스팩 제외)의 상장 3개월 후 주가 수익률 32%에 한참 못 미친다.  
 
증권가에서는 변동성 장세가 이어지는 만큼 올 상반기까지는 IPO 시장에 한파가 불 것으로 전망한다. 당장 3월 기관 수요예측에 나서는 기업도 유일로보틱스, 공구우먼 등 5곳으로 1월(10곳), 2월(9곳)보다 줄었다.  
 
나승두 SK증권 연구원은 “상장을 준비하는 기업들이 적정 가치를 인정받기 위해 시장 방향성과 타이밍을 살피고 있다”며 “적절한 공모가를 평가받기 위해 눈치싸움을 벌일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다만 투자자 예탁금은 60조원 수준에서 유지되고 있어 시장 유동성은 여전히 풍부한 편”이라며 “변동성이 잠잠해지고 증시 분위기가 돌아서면 하반기에는 IPO에 나서는 기업이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강민혜 기자 kang.minhye1@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경북도, K-국방용 반도체 국산화 위해 전주기 지원체계 구축

2영천시, 베트남 대형 유통업체 K-MARKET과 "농특산물 수출 확대" 협약 맺어

3대구시, 경기 화성 배터리공장 화재피해 복구 지원에 1억원 지원

4소방당국, 아리셀에 ‘화재 경고’…‘예방컨설팅’까지 했다

5최태원 동거인 첫 언론 인터뷰 “언젠가 궁금한 모든 이야기 나눌 수 있을 것”

6갤럭시, 접고 끼고 AI 장착…‘언팩 초대장’ 보낸 삼성전자, 링·폴드·플립 공개

7이복현 “상속세·금투세 등 의견 피력…하반기 ‘골든타임’”

8토스뱅크·광주은행, 올해 3분기 ‘공동대출’ 출시

9연세의대 교수비대위 27일부터 '무기한 휴진'

실시간 뉴스

1경북도, K-국방용 반도체 국산화 위해 전주기 지원체계 구축

2영천시, 베트남 대형 유통업체 K-MARKET과 "농특산물 수출 확대" 협약 맺어

3대구시, 경기 화성 배터리공장 화재피해 복구 지원에 1억원 지원

4소방당국, 아리셀에 ‘화재 경고’…‘예방컨설팅’까지 했다

5최태원 동거인 첫 언론 인터뷰 “언젠가 궁금한 모든 이야기 나눌 수 있을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