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O UP | 이재환 원스토어 대표] 규제 본격 시행에 조용히 웃는 토종 앱마켓
인앱결제 강제 금지법 시행, 원스토어 반사이익 기대
![](/data/ecn/image/2022/03/18/ecn8e0b78ed-2d7d-4952-bf34-544c7ef6e226.jpg)
개정안의 주요 규제 대상은 원스토어의 경쟁사인 구글과 애플 등 글로벌 앱마켓 사업자다. 애초에 법이 만들어진 계기도 두 기업이 인앱결제를 강제했기 때문이었다. 인앱결제란 앱마켓이 자체개발한 내부결제 시스템으로만 결제하는 방식이다.
앞서 구글은 지난해 게임 앱에만 적용하던 인앱결제를 웹툰 등 콘텐트 앱 전반으로 확대해 결제대금의 30%를 수수료로 물리겠다고 밝히면서 논란이 됐다. 애플은 처음부터 30% 수수료를 내는 인앱결제 방식만 고수했다.
![](/data/ecn/image/2022/03/18/ecnf17e0b9f-475d-49f2-bd4e-34a90f3236b2.jpg)
반면 원스토어의 결제 정책은 이 법 규제와는 관련이 없다. 인앱결제를 강제하지도 않고, 막대한 수수료를 요구하지도 않기 때문이다. 원스토어는 지난 2018년 개발사와의 상생을 위해 30%의 수수료를 20%로 낮췄고, 자체결제 시스템을 쓰는 앱에는 5%의 수수료만 받고 있다. 덕분에 원스토어는 지난해 상반기에 거래액 5500억원, 매출 1007억원을 달성했다.
개정안 시행에 따른 시장의 구도 변화 역시 점유율 후순위 사업자인 원스토어엔 기회다. 이재환 원스토어 대표는 지난해 8월 열린 비전선포식에서 “개정안은 앱마켓을 독점하는 2개 사업자를 견제하기 위한 장치”라면서 “시장의 변화는 원스토어에 큰 기회가 될 수 있다”고 평가했다.
김다린 기자 kim.darin@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지난해 국립대병원 10곳, 적자 규모 5600억원 달해
2제주서 잡힌 ‘전설의 심해어’ 돗돔... 크기가 무려 183cm
3못 말리는 한국인의 홍삼 사랑...홍삼원 '1000억 메가 브랜드' 됐다
4상위 1% 부자 되는 법은…“30대엔 몸, 40대엔 머리, 50대엔 ‘이것’ 써라”
5쿠팡이츠, 상생 요금제 도입…매출 하위 20% 수수료 7.8%p 인하
6"갤럭시 S25, 기다려라"...AI 기능 담은 '아이폰 SE4' 출시 임박, 가격은?
7‘농약 우롱차’ 현대백화점 “환불 등 필요한 모든 조치”
8작년 배당금 ‘킹’은 삼성 이재용…3465억원 받아
9유럽, 기후변화로 바람 멈추나…풍력 발전 위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