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응계획 없다" 밝힌 기업 70%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중진공)은 중소벤처기업의 글로벌 공급망 변화 대응 동향조사 결과를 담은 이슈포커스를 발간했다고 21일 밝혔다. 지난 1월 18일부터 25일까지 중소기업 1000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이번 조사에서 응답 기업의 79.6%는 공급망 변화로 인해 부정적인 영향을 받고 있다고 답했다.
가장 큰 영향을 받는 생산 활동 단계는 원자재 수급(53.3%)으로 조사됐다. 부품 등 중간재 조달(27.0%), 최종 납품(10.9%), 생산(8.8%)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자재 조달처는 국내 조달·자체생산(50.6%), 중국(24.7%), 미국(6.0%), 일본(4.4%), 유럽(3.5%) 순으로 집계됐다. 업종별로는 전기·전자 업종은 중국 이외에 미국(11.1%)과 일본(11.1%)의 수입 비율이, 기계 업종은 유럽 수입 비율(16.9%)이 전체 평균보다 높았다.
기업들은 글로벌 공급망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필요한 정책자금(47.9%) 지원이 가장 시급하다고 전했다. 대체처 발굴(15.3%), 원자재 비축(12.7%), 신속 통관과 물류지원(11.6%), 기술개발 지원(5.7%)이 필요하다는 곳도 뒤를 이었다.
중진공은 공급망 안정화를 위한 정책 지원 방안으로는 ▶정책자금(원부자재 구입, 재고 확보) ▶공급망 다변화(수입 의존도 높은 품목 대상 국가별 대체 조달처 DB 구축 등) ▶공급망 대응 역량 강화(자립화 핵심기술 분야 인력 지원, 디지털화 지원 등) ▶공급망 대응 기반 구축(국내 생산기반 마련, 지역·업종 맞춤형 공급망 진출 지원) 등을 제시했다.
공급망 변화 대응을 위해 “준비가 됐거나 준비 중”이라고 응답한 기업은 18%에 불과했다. 69.0%는 공급망 대응 관련 준비 계획이 없다고 응답했다.
김학도 중진공 이사장은 “최근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 등으로 글로벌 공급망 불확실성이 이어지면서 국내 중소기업이 대금결제 지연, 원자재 가격 상승, 물류비 부담 등 다양한 방면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며 “기업 현장 애로사항을 상시 모니터링하고 중소기업 공급망 안정화를 위한 지원에도 적극적으로 나서겠다”고 말했다.
이병희 기자 yi.byeonghee@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오늘 내 혈관 어때?"…똑똑해진 '손목 위 주치의' 갤럭시 워치8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단독] 박은영 전 아나, 두 아이 엄마 된다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단독]공매도 도입한 코인 거래소…당국, 투자자 보호 입법 추진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왓챠, CB 투자자가 회생절차 신청…"철회 요청, 협의 중"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큐렉소, FDA 늦어도 방향성 확실…이익·주도권 쥐고 미국시장 공략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