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징=신화통신) "플라스틱 도시락 용기는 재활용품입니다. 생선뼈·과일껍질 등은 음식물 쓰레기입니다. 분리배출해 주세요." 학생 자원봉사자가 지난 16일 정오(현지시간) 베이징임업대학 13동 기숙사 아래에 위치한 분리수거장에서 쓰레기를 버리러 온 학생에게 분리수거 방법을 알려주고 있었다. 2020년 5월 1일 새로운 '베이징시 생활 쓰레기 관리 조례'가 시행된 이후 임업대학 교정에는 조용한 변화가 감지되고 있다. 쓰레기 분리수거로 교정은 더욱 깨끗하고 아름다워졌다는 평가다. 임업대학의 한 재학생은 "예전에는 교내 환경미화원이 기숙사 복도에서 분리수거를 했는데 냄새도 많이 났을 뿐만 아니라 바람이 불면 쓰레기가 여기저기 날아다니기 일쑤였다"면서 "현재는 학생 기숙사에 마련된 계획표에 따라 정해진 시간에 쓰레기 분리배출을 진행한다"고 강조했다. 쓰레기 분리수거는 임업대학뿐 아니라 베이징 내 다른 대학교 및 초·중·고교에서도 새로운 유행처럼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베이징시 제20중고등학교에는 총 74개 학급이 있는데 학급마다 분리수거장 책임자가 1~2명씩 지정돼 있다. 이들은 지정된 시간에 학교 층마다 마련된 재활용품 분리수거장을 관리·감독하며 학우의 분리수거 생활화에 도움을 주고 있다. 베이징의 많은 학교에서는 쓰레기 분리수거와 수업을 유기적으로 융합시켜 예술 창조 및 자원 재활용 혁신 프로젝트를 이끄는 등 학생의 창조적인 의식을 고취시키고 있다. 하이뎬(海澱)구에 위치한 첸진(前進)초등학교에서는 학생들이 폐지·택배포장지 등 재활용품을 활용해 예술작품을 창작하고 있다. 요구르트 박스가 화분으로 변신하고, 형형색색의 폐지는 화려한 그림으로 재탄생했다. 베이징시의 쓰레기 분리수거 작업은 최근 수년간 뚜렷한 성과를 거뒀다. 현재까지 베이징 주민의 쓰레기 분리수거에 대한 인식률은 98%, 참여율은 90%를 상회한다. 자율적인 분리배출 정확도는 85%에 달했다. 류젠궈(劉建國) 칭화(淸華)대 교수는 쓰레기 분리수거의 정착은 사회의 광범위한 참여와 끊임없는 노력에 달려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교정에서 쓰레기 분류를 실속 있게 추진하고 많은 교직원이 장기간 이러한 습관을 기르도록 인도한다면 파급효과가 사회 전체에 미칠 수 있다고 예상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이건주, 프랑스 입양 남동생 찾았다 “미안해. 보고 싶었어” 오열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이데일리
이데일리
“故김새론과 약속 지키고 싶었다”…베일 벗은 유작 ‘기타맨’ [종합]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3대 이모님 가전답네”…더러운 우리집 새집 만드는 ‘이것’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백기사’로 얽힌 재계…경영권 분쟁 때 빛나는 동맹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유바이오로직스 ‘영업이익률 42.7%’, 백신기업 1위...고수익 유지 가능할까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