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달의 민족, 단건 배달 서비스 ‘배민1’
지난 3월 22일부터 수수료 체계 조정
배달비 6000원에 중개수수료 6.8% 부가

업계에 따르면 배달의민족은 이번 수수료 체계 조정으로 기본형 기준 중개수수료 6.8%(부가세 포함 7.48%)에 배달비 6500원(자영업자 6000원, 소비자 500원 부담)으로 변경됐다. 배달비가 1000원 오른 것 외에 고정으로 지불했던 수수료가 정률제로 바뀐 것이다. 즉 주문액이 커질수록 수수료도 커지는 셈이다.
수수료 체계가 바뀌면서 자영업자들의 부담이 커지고 있다. 서울 양평동에서 치킨집을 운영하는 자영업업자 김 모씨는 “지난해 배민1을 시작하면서, 배달의 민족 측은 ‘지금 가격은 프로모션 요금제’라며 ‘언제든 배달비가 인상될 수 있다’고 자영업자에게 홍보해왔는데 배달비뿐 아니라 중계수수료 체계까지 바뀌니 부담이 커졌다”고 토로했다.

또 다른 정산정보에 따르면, 총 1만2500원이 결제된 경우에는 결제정산수수료 375원, 중개이용료 680원, 배달비 6000원, 부가세 706원으로 총 7055원 차감금액을 빼고 단 4739원만 자영업자에게 지급됐다.
고정 배달비 6000원에 중개수수료와 부가세 등이 더해지면 차감금액은 대부분 8000원을 웃돌게 된다.

서울 당산동에서 아시안푸드 레스토랑을 운영하는 자영업자 정 모씨는 “배민1 수수료가 높기 때문에 배달팁을 다르게 책정한다”며 “일반 배달은 0~2000원을 책정했고, 배민1은 2900~3400원으로 책정했다”고 말했다.
하지만 배달의 민족 측은 이번 수수료 체계 조정은 기존 계약한 정가 보다도 낮은 가격이라고 설명한다. 배달의 민족 관계자는 "프로모션 요금제가 아닌 배민1 정가는 중개수수료 12%에 추가적으로 배달비 6500원 수순이었지만, 갑작스럽게 가격을 높게 올리면 혼선이 일어날 것으로 생각해 기존 정가보다 낮은 현재 가격을 책정하게 됐다"며 "여태까지 프로모션 요금제인 배달비 5000원으로 운영한 것은 당사가 적자를 감수하고 운영해왔던 것이라, 프로모션 요금제를 유지하긴 어려운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라예진기자rayejin@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많이 본 뉴스
MAGAZINE
MAGAZINE
Klout
Klout
섹션 하이라이트
섹션 하이라이트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 모아보기
- 일간스포츠
- 이데일리
- 마켓in
- 팜이데일리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韓대행, 대선출마 묻자 "노 코멘트…아직 결정 안내려"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윤여정, 아들 커밍아웃 고백 “뉴욕에서 결혼… 사위를 더 사랑해”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1만원대 맞아?” BBQ 치킨에 짬뽕 무한리필 끝판왕 뷔페[먹어보고서]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한화에어로 유증 여전히 물음표…또 제동 걸렸다[위클리IB]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국내 TPD 회사는 저평가 되었나…당면한 숙제는 '임상'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