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거리두기 해제’ 동상이몽…‘5월 대목’ 기대vs‘미친 물가’ 한숨

18일부터 2년 1개월 만에 사회적 거리두기 전면 해제
유통업계, 일상회복 본격화에 경영 정상화 본격 돌입
소비자, 고삐 풀린 물가 걱정에 한숨만…대안책 없어

 
 
서울 시내의 한 음식점에 24시까지 영업을 알리는 간판이 설치돼 있다. [연합뉴스]
“가족의 달(5월) 대목을 앞둔 만큼 매출 회복의 터닝포인트가 될 것” vs “갈 곳은 많아졌는데 물가가 너무 올라 외출이 걱정스럽다”  
 
오늘(18일)부터 시행되는 거리두기 해제를 놓고 유통업계와 소비자들 반응이 극명하게 엇갈리고 있다. 2년 넘게 이어진 사회적 거리두기로 매출에 큰 타격을 받은 업계는 5월 대목을 앞둔 만큼 일상 회복에 대한 기대감에 부푼 반면 최근 무섭게 치솟는 물가를 체감하고 있는 소비자들은 크게 반기지 않는 분위기다.  
 

움츠렸던 유통가…올해 5월엔 ‘웃자’  

먼저 유통가는 거리두기 해제를 앞두고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다. 업계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위축됐던 소비를 촉진하는 터닝 포인트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번 일상 회복이 1년 중 완구 매출이 가장 높은 ‘어린이날’부터 선물 수요가 급증하는 ‘어버이날’, ‘스승의 날’ 등이 이어지는 5월 가정의 달 대목을 앞두고 이뤄졌기 때문이다. 특히 지난해 5월 대목을 놓친 백화점과 대형마트 등은 매출 회복에 대한 기대감을 드러내고 있다.  
 
대형마트 한 관계자는 “2020년과 지난해는 코로나19로 나들이객이 급감하면서 5월 매출이 급감했다”면서 “가정의 달을 앞두고 각종 행사나 마케팅을 활발하게 해 지난해 놓친 매출 회복을 위해 최선을 다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정부가 사회적 거리두기를 도입 2년 1개월 만에 전면 해제를 결정한 15일 오후 홍대거리가 붐비고 있다. [연합뉴스]
사회적 거리두기가 계속되면서 가장 큰 피해를 봤던 외식업계는 정부의 해제 조치를 두 팔 벌려 반기고 있다. 이들은 코로나19 이전의 매출을 회복할 것이라는 기대감에 손님 맞이에 분주한 모습이다.  
 
한식집을 운영하는 윤모씨는 “계속된 거리두기와 재택근무 등으로 매출이 반의 반 토막이 난 채로 근근이 버텨왔는데 숨통이 트인다”면서 “이제는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손님 발길이 이어지고 매출도 회복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칼국수 한 그릇 8000원…“돈 쓰기 겁나요”  

반면 소비자들은 지갑이 얇아질까 걱정하고 있다. 최근 물가 상승세가 심상치 않아서다.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4.1%를 기록하며 2011년 12월 4.2% 이후 10년 3개월 만에 4%대로 올라섰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10월부터 올해 2월까지 5개월 연속 3%대를 기록하다 지난달 4.1%까지 치솟았다.
 
우크라이나 사태 장기화로 국제 에너지 및 곡물 가격 상승세와 공급망 차질 등 대외적 불안 요인이 악화된 탓이다. 실제 이 영향으로 밀값이 폭등하면서 외식 물가도 비상이 걸렸다. 서울의 칼국수 한 그릇 평균 가격은 8000원을 넘었고, 냉면은 1만원을 육박하고 있다.  
서울 시내 한 냉면집 메뉴판. [연합뉴스]
 
직장인 김모씨는 “재택근무를 할 때는 대충 밥 한 끼를 때우는 게 쉬웠지만 출근하면 그럴 수도 없고 점심, 저녁 사람들과 어울려 먹는 외식비가 가장 부담된다”면서 “한 5000원 하던 메뉴들이 기본 7000~8000원으로 올라있는 것 같다”고 털어놨다.  
 
문제는 상당기간 급격한 물가 오름세가 지속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여기에 사회적 거리두기가 해제되면서 고공행진 중인 물가를 한층 자극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와 소비자들을 더 긴장하게 하고 있다.  
 
주부 박모씨는 “가뜩이나 자고 일어나면 물가가 오르는데 일상 회복이 물가 흐름에 새 변수가 될까 걱정”이라면서 “더구나 외식가격은 한 번 오르면 쉽게 내리지 않고, 추가 상승요인도 적지 않은 상황이라 불안하다”고 말했다.  
 
한편 정부도 갈수록 가팔라지는 물가 상승세를 꺾기 위해 칼을 빼들었지만 뾰족한 대안은 마련되지 않은 상황이다. 지난 2월 치솟는 물가 고삐를 잡겠다며 주요 프랜차이즈의 외식가격 변동 여부를 공시하는 ‘외식가격 공표제’를 시행했지만 실효성엔 물음표가 찍힌다. 3월 외식 물가는 지난해 3월 대비 6.6% 올랐다. 이는 1998년 4월 7.0% 이후 23년 11개월 가장 큰 상승률이다. 

김설아 기자 kim.seolah@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hy, ‘NK7714 프로바이오틱스 콜레스테롤 선 에센스’ 출시

2bhc치킨, 상조 서비스 도입...동반성장 위한 가맹점 지원 확대

3골든블랑, 여름 시즌 한정판 ‘오픈에어 패키지 2024’ 출시

4파리올림픽 누비는 카스...배하준 오비맥주 사장 “맥주 그 이상의 의미”

5그랜드벤처스, 탄소회계 솔루션 '카본사우루스'에 프리 A 라운드 투자

6볼보코리아, 어린이 안전 등하굣길 지원…교통안전 용품 5000개 기증

7케이엠텍, 전고체ㆍ건식전극 제조설비 전문업체로 우뚝

8 작년 마약사범 연간 2만명 첫 돌파…10대도 급증

9이창용 총재, ‘BIS 연차총회’ 참석 위해 스위스行

실시간 뉴스

1hy, ‘NK7714 프로바이오틱스 콜레스테롤 선 에센스’ 출시

2bhc치킨, 상조 서비스 도입...동반성장 위한 가맹점 지원 확대

3골든블랑, 여름 시즌 한정판 ‘오픈에어 패키지 2024’ 출시

4파리올림픽 누비는 카스...배하준 오비맥주 사장 “맥주 그 이상의 의미”

5그랜드벤처스, 탄소회계 솔루션 '카본사우루스'에 프리 A 라운드 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