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LG화학, ‘배터리 열폭주’ 막는 플라스틱 소재 개발 성공

전기차 배터리 화재 막는데 도움
“1000도 이상에서도 400초 이상 화염 전파 방지”

 
 
LG화학이 세계 최장 시간 동안 전기차 배터리의 '열폭주'를 지연하는 배터리 팩 플라스틱 소재를 개발했다고 25일 밝혔다. 사진은 신규 개발한 특수 난연 플라스틱 소재를 살펴보는 LG화학 연구원들.[사진 LG화학]
LG화학이 세계 최장 시간 동안 전기차 배터리의 ‘열폭주’를 지연하는 배터리 팩 플라스틱 소재를 개발했다고 25일 밝혔다.
 
‘열폭주’는 전기차 배터리 화재의 주요 원인으로 꼽히는 현상이다. 다양한 원인으로 배터리 셀에 자극이 가해지면 열이 발생하는데, 과전압‧과방전 등으로 배터리의 내부 온도가 일정 수준 이상 올라가면 화염이 발생한다.  
 
LG화학이 개발한 특수 난연 소재는 폴리페닐렌 옥사이드(PPO)계, 나일론수지인 폴리아마이드(PA)계,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계의 다양한 소재군을 갖춘 고기능성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소재다. 내열성이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다. 전기차 배터리 팩 커버에 적용하면 일반 난연 플라스틱보다 긴 시간 동안 열을 차단할 수 있다.
 
LG화학은 온도 변화에도 형태를 유지하는 치수 안정성도 우수하다고 설명했다. LG화학 자체 테스트 결과 섭씨 1000도 이상에서도 400초(6분 40초) 이상 열폭주에 의한 화염 전파를 방지한다는 것이다. 이는 일반 난연 플라스틱보다 성능이 45배 이상 뛰어난 수준이다. 화염 차단 시간은 ‘세계 최장’ 수준으로 알려졌다.  
 
LG화학은 2009년부터 연구‧개발을 시작해 올해 양산 체계를 구축했다. 2023년부터 본격적으로 제품을 생산할 예정이다. 국내는 물론 미국·유럽 등에 특허 출원 절차를 진행 중이다. 배터리 팩 이외에 다양한 산업 분야에도 적용한다는 방침이다.  
 
김 스티븐 LG화학 엔지니어링소재 사업부장 전무는 LG화학 엔지니어링소재 사업부장 김 스티븐 전무는 “10년 넘게 꾸준히 연구해 해결책을 찾아냈다”며 “세계 최고 수준의 컴파운딩(Compounding·두 개 이상의 산업소재를 혼합하는 생산방식) 기술력을 바탕으로 지속적인 연구개발과 양산 투자를 통해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이모빌리티(e-Mobility) 소재 시장을 선도해가겠다”고 말했다.

이병희 기자 yi.byeonghee@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의협, 전국 6곳서 촛불집회...“전공의·의대생 외로운 싸움 안돼”

2주총 하루 앞둔 아워홈, ‘남매갈등’ 격화...장녀 “대표이사직 오르겠다”

3주가 급등한 SK, 자사주 69만주 소각…매입가 기준 1200억원 규모

4“‘천비디아’의 힘”…서학개미 1위 ‘테슬라’에서 ‘엔비디아’

5넷마블의 비밀병기 ‘레이븐2’는 어떤 게임?

6겨우 숨돌린 조선업계, 눈앞에 놓인 ‘노조 리스크’에 다시 ‘살얼음판’

7하이브 “법원 판단 존중, 임시주총서 ‘민희진 해임’ 찬성 안할 것”

8“고객중심 외치는 ‘보람상조’”…직영 서비스 강화로 책임경영

9尹 “2032년 달에 탐사선 착륙…, 2045년 화성에 태극기 꽂겠다"

실시간 뉴스

1의협, 전국 6곳서 촛불집회...“전공의·의대생 외로운 싸움 안돼”

2주총 하루 앞둔 아워홈, ‘남매갈등’ 격화...장녀 “대표이사직 오르겠다”

3주가 급등한 SK, 자사주 69만주 소각…매입가 기준 1200억원 규모

4“‘천비디아’의 힘”…서학개미 1위 ‘테슬라’에서 ‘엔비디아’

5넷마블의 비밀병기 ‘레이븐2’는 어떤 게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