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의 中 반도체 규제 역풍? 中 한국 반도체 수입 14% 감소
제재 이후 대만·일본 반도체 수입 늘고 한국산은 줄어
2018년 대비 한국 반도체 점유율 5.5% 감소
中 반도체 양적 성장은 지속…생산량 94% 늘어
“K-반도체 초격차 위해 R&D 투자 등 정책지원 강화”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는 중국 화웨이와 SMIC(中芯國際·중신궈지)를 대상으로 한 미국 정부의 반도체 공급 규제 이후 대만과 한국, 아세안 6개국(베트남·싱가포르·태국·필리핀·말레이시아·인도네시아), 일본, 미국의 중국 반도체 수입 시장 점유율 변화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5일 밝혔다.
전경련의 분석 결과, 미국의 중국에 대한 반도체 공급규제가 시작되기 직전인 2018년 대비 지난해 중국의 반도체 수입은 37.2%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의 반도체 수입처는 주로 대만과 일본으로 각각 57.4%, 34.8% 증가했다. 전경련 측은 “미국의 제재로 중국 토종기업과 중국 내 외국인 투자기업이 함께 미국 반도체 구매가 막히면서 대만산 반도체 칩 수입을 늘린 결과”라고 분석했다.

대만과 일본산 반도체 수입이 크게 늘면서 중국 반도체 수입시장 점유율도 변화가 있었다. 2018년 대비 2021년 대만의 점유율은 4.4%p 일본의 점유율은 1.8%p 각각 늘어난 반면 한국의 점유율은 5.5%p 줄어들었다.

자급률은 떨어지지만, 중국 반도체산업은 꾸준히 양적 성장을 이루고 있다. 2021년 반도체산업(반도체 집적회로 기준)은 2018년 대비 매출액은 61.0%, 생산량은 94.0% 증가했다. 전경련 측은 “미국 반도체 업계는 중국이 중앙정부의 견조한 지원을 통해 글로벌 메이저 기업과의 격차가 큰 첨단 노드 파운드리 생산·장비·소재 분야에서 향후 10년 동안 격차가 줄어들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실제로 중국 1위 파운드리 업체 SMIC는 올해 2월 반도체 생산능력 확충을 위해 50억 달러(약 6조1600억원) 신규 투자를 발표하였고, 2위 업체 화훙반도체는 투자재원 확보를 위한 상하이증시 2차 상장을 통해 약 150억 위안(약 2조9000억원) 조달에 나섰다.

실제로 2014년~2018년 21개 글로벌 반도체 기업의 매출액 대비 정부지원금 비중이 높은 상위 5개 기업 중 3개가 중국 기업(SMIC 6.6%, 화홍 5%, 칭화유니그룹 4%)이었고, 미국 반도체 기업 역시 상당 수준의 정부 지원금을 받은(마이크론 3.8%, 퀄컴 3%, 인텔 2.2%) 반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각각 0.8%, 0.5%에 불과한 실정이다.
김 본부장은 그러면서 “4월 중순 인수위의 신정부 국정과제로 반도체 초격차 확보를 위한 지원방안을 검토키로 결정한 것은 K-반도체 초격차 확보를 위한 첫걸음을 뗀 것이며, 정부 출범 즉시 범부처 시스템반도체산업 육성, 글로벌 공급망 협력체계 강화 등을 속도감 있게 추진해 주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허인회 기자 heo.inhoe@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한국 관세 행정명령 부속서엔 25% 아닌 26%…백악관 "부속서 따라야"
2'펭리둥절' 남극에도 트럼프 관세?…"안전한 곳 없어"
3경북도, 산불피해 농어촌에 긴급자금 200억 지원
4구미시 "낙동강 따라 걷고 쉬고 즐긴다"
5울진대게, 대한민국 대표 브랜드 9년 연속 선정
6경주 벚꽃마라톤, 봄바람을 가르며 1만 5천여 명의 질주
7"수사는 안 하고 달력만 넘긴다" 홍준표 수사, 6월에는 결론날까?
8"일본산, 이젠 안녕!" 울진군, 동해안 방어 양식시대 개막
9"글로벌 인재로 미래 연다" 경북도, 3일부터 광역형 비자 시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