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전망치 3% 하향조정 불가피

한국은행이 26일 발표한 ‘2022년 1분기 실질 국내총생산(속보)’에 따르면 지난 1분기 우리나라의 GDP 성장률은 전기대비 0.7%를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로는 3.1% 늘었다. 지난해 4분기 성장률인 1.2%와 비교하면 성장세가 절반 수준으로 위축됐다.
분기별 실질 GDP 성장률은 코로나19 여파로 2020년 1분기(-1.3%)와 2분기(-3.2%)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이후 3분기(2.2%) 증가 전환한 다음 4분기(1.1%), 2021년 1분기(1.7%), 2분기(0.8%), 3분기(0.3%), 4분기(1.2%)에 이어 올 1분기까지 7분기 연속 성장세를 기록했다.하지만 올해 1분기 성장률은 직전 분기보다 0.5%포인트나 떨어졌다.
올해 1분기 경제 성장은 수출이 주도했다. 수출은 반도체, 화학제품 등을 중심으로 4.1% 늘었고 수입은 원유 등이 늘어 0.7% 증가했다. 지식재산생산물투자는 2.1% 성장했다.
반면 소비와 투자는 급격히 얼어붙었다. 민간소비는 0.5% 감소했고, 건설투자는 2.4% 줄었다. 설비투자는 기계류와 운송장비가 모두 줄어 4.0% 감소했다.
경제활동별로 보면 건설업이 감소하고 서비스업은 소폭 줄었으나 제조업이 증가를 지속했다. 농림어업은 축산업을 중심으로 4.1% 증가하고, 제조업도 컴퓨터·전자 및 광학기기, 화학제품 등이 늘어 3.4% 증가했다. 전기가스수도사업은 전기업을 중심으로 3.8% 증가했다. 건설업은 건물 및 토목 건설이 모두 줄어 0.6% 감소했다. 서비스업은 금융보험업 등이 늘었으나 운수업, 문화 및 기타 서비스업 등이 줄어 0.1% 감소했다.
1분기 실질 국내총소득(GDI)은 교역조건 악화로 전기대비 0.6% 감소하면서 성장률을 밑돌았다. 전년 동기 대비로는 0.1% 늘었다. 소비 위축과 정부 지출이 줄어들면서 한국은행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3.0%)는 하향조정이 불가피해 보인다.
원태영 기자 won.taeyoung@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단독] 'KBO 영구 실격' 이장석 전 대표, 대만 캠프까지 동행했다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이데일리
이데일리
팜이데일리
"너 때문에 코요태 끝나"…신지 반응은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트럼프 “파월 사임 환영…금리 인하하면 부동산 폭발할것”(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실체는 그게 아닌데"…모회사 뒷배 반영, 투자판단 흐린다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구글 픽’ 멧세라, 디앤디파마텍 통해 경구용 비만약 강자로 도약할까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