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쿠팡은 또 ‘총수 없는 대기업’…크래프톤·KG·농심 대기업 됐다

쿠팡 창업주 김범석 또 지정 피해
해운・건설・IT 집단이 성장세 보여

 
 
지난해 8월 10일 오후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 외벽에 크래프톤 상장 축하 현수막이 걸려 있다. [연합뉴스]
게임 기업 크래프톤과 KG, OK금융그룹 등이 대기업집단으로 지정됐다. 암호화폐 거래소인 업비트 운영사인 두나무는 대기업집단에 더해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상출제한집단)으로 지정됐다. 미국 국적인 김범석 쿠팡 이사회 의장은 이번에도 동일인(총수) 지정을 피했다.
 
27일 공정거래위원회는 자산총액 5조원 이상인 76개 기업집단(소속회사 2886개)을 올해 5월 1일자로 공시대상기업집단(대기업집단)으로 지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들 대기업집단 가운데 자산총액이 10조원 이상인 47개 집단(소속회사 2108개)은 상출제한집단으로 지정할 계획이다.
 
대기업집단에 지정되면 공정거래법에 따른 공시 의무가 생기며, 특수관계인에 대한 부당한 이익제공 등이 금지된다. 상출제한집단은 여기에 더해 상호출자·순환출자·채무보증 등이 금지된다. 금융·보험사의 의결권 행사도 제한을 받는다.
 
공정위에 따르면 올해 새로 지정된 대기업집단은 ▶두나무(IT업종) ▶크래프톤(게임 업종) ▶보성(건설·부동산) ▶KG(화학·철강) ▶일진(전력기기) ▶OK금융그룹(은행·대부) ▶신영(부동산개발) ▶농심(식료품제조) 8곳이다. 특히 게임 깅 크래프톤은 기업공개(IPO)로 인한 공모자금 신유입, 매출액 증가 등이 영향을 미쳤다.
 
IMM인베스트먼트와 한국투자금융은 대기업집단을 피했다. 공정거래법 시행령 개정에 따라 올해부터 사모펀드(PEF) 전업 집단, 금융·보험사와 PEF 관련 회사만으로 구성된 기업집단을 지정에서 제외한 데 따른 것이다. 대우건설은 인수·합병으로 중흥건설에 흡수되며 지정에서 제외됐다.
 
두나무는 자산총액이 약 10조8225억원으로 늘어 암호화폐 거래업계 최초로 상출제한집단에 지정됐다. 두나무의 동일인으로는 송치형 회장이 지정됐다. 공정위가 대기업집단과 상출제한집단을 나누어 지정한 2017년 이후 단숨에 상출제한집단으로 지정된 것은 두나무가 첫 사례다.
 
상출제한집단은 지난해 40곳과 비교해 7곳 증가했다. 중흥건설·HMM·태영·OCI·두나무·세아·한국타이어·이랜드 등 8개 집단이 신규 지정됐다. 한국투자금융은 지정에서 제외됐다. 대기업집단의 계열사 수는 지난해 대비 274개 증가한 2886개로 집계됐으며, 상출제한집단의 계열사 수는 2108개로 지난해보다 366개 늘었다.
 

해운사는 수요 회복, 건설사는 인수·합병으로 급성장

HMM 함부르크호. [사진 HMM]
 
올해 대기업집단 지정 과정에서는 해운・건설・IT 주력집단들이 성장세를 보였다. 공정위는 “해운 수요 회복에 따른 실적 개선으로 해운 주력집단들이 급성장했다”고 분석했다.
 
HMM은 자산총액이 지난해 한해 동안 8조8000억원에서 17조8000억원으로 증가했드며, 자산총액 기준 순위도 20단계 이상 급등(48위→25위)했다. SM(10조5000억원→13조7000억원)과 장금상선(6조3000억원→9조3000억원)의 자산 총액도 증가했다.
 
중흥건설 사옥. [중앙포토]
 
건설 주력집단도 활발한 인수・합병에 성장세를 보였다. 특히 중흥건설은 자산총액이 2배 이상 (9조2000억원→20조3000억원) 증가했으며, 자산총액 기준 순위도 47위에서 20위로 20단계 이상 올랐다.
 
카카오, 네이버 등 IT 주력집단들은 최초로 지정된 이후에도 꾸준한 성장세를 유지했다. 대부분 지난해 대비 자산총액도 증가하였다.
 
미국 뉴욕증권거래소 건물에 쿠팡의 로고와 함께 태극기가 게양돼 있다. [사진 쿠팡]
 
한편 쿠팡은 미국 국적인 김범석 의장이 이번에도 총수 지정을 피했다. 이에 지난해와 같이 ‘총수 없는 기업집단’으로 지정됐다. 공정위는 현장조사까지 진행하고 김 의장 개인의 지분 변동, 개인회사 소유 현황 등을 분석했지만 지난해와 사정 변경이 없다고 봤다.

강필수 기자 kang.pilsoo@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부부 연기가 현실로...20년 만에 재결합 “묘한 인연 느껴”

2‘탄핵 딱 질색이니까’ 노래 부르는 윤대통령 등장 ‘화들짝’

3속도가 도시를 바꿀까

4‘가짜 면허 파문’ 파키스탄 항공…‘에펠탑 여객기 충돌’ 광고 논란

5뉴진스 하니가 불법 체류자?...“답변 드리기 어려워”

6美 고용강세에 금리인하 기대감↓…뉴욕 증시도 긴장

7역대 최고치 찍은 '국제 커피 지수'...커피값 어디로 가나

8‘뉴스테이’부터 ‘장기민간임대주택’까지 정부가 주도한 임대사업

9기후플레이션 심화에 대한 우리의 대응은

실시간 뉴스

1부부 연기가 현실로...20년 만에 재결합 “묘한 인연 느껴”

2‘탄핵 딱 질색이니까’ 노래 부르는 윤대통령 등장 ‘화들짝’

3속도가 도시를 바꿀까

4‘가짜 면허 파문’ 파키스탄 항공…‘에펠탑 여객기 충돌’ 광고 논란

5뉴진스 하니가 불법 체류자?...“답변 드리기 어려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