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러시아 ETF’ 상폐는 모면했지만 순자산가치 회복은 어려워

러 증시 폭락에 3월부터 거래정지, 재개 시점은 ‘미정’
한투운용 “스와프 계약 연장…투자자 보호 최우선”

 
 
폴란드 국기와 러시아 국기를 배경으로 촬영한 천연가스 파이프라인 모형. [로이터=연합뉴스]
러시아 증시 폭락에 거래가 정지됐던 한국투자신탁운용의 러시아 상장지수펀드(ETF)가 상장폐지 위기를 모면했다. 이번 상장 유지 결정으로 해당 상품의 거래는 곧 재개될 전망이지만, 스와프 계약 규모 축소에 따라 순자산가치(NAV)가 이전 수준을 회복하기는 어려울 전망이다.  
 
한국투자신탁운용은 28일 홈페이지를 통해 ‘KINDEX 러시아 MSCI(합성) ETF’의 상장을 유지한다고 밝혔다. 매매거래 재개 시점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으며, 거래정지 해제 시 별도의 시장 안내가 있을 전망이다.  
 
한국투자신탁운용 관계자는 “지난 2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발생한 일련의 러시아 경제위기로 이 ETF 운용과 관련해 국가 위험, 장외파생상품 위험, 상장폐지 위험 등이 발생했다”며 “이 같은 극단적 상황 속에서도 투자자 보호를 최우선의 가치로 정하고 ETF 상장을 유지하기 위해 스왑(Swap) 거래 상대방 등과 다양한 협의를 진행한 결과 스왑 계약을 가능한 범위 내에서 연장하는 것으로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이 상품은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이 산출하는 ‘MSCI Russia 25% Capped Index’를 원화로 환산한 지수를 추종하는 패시브 ETF다. 앞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인 지난 3월 MSCI가 지수 산출방식을 변경하면서 상장폐지 위기가 발생했다.  
 
당시 MSCI는 모든 지수 내 러시아 주식에 대해 0.00001 값을 적용했다. MSCI가 러시아 주식가치를 사실상 0에 가깝게 변경하면서 해당 상품의 기초지수 종가는 3월 8일 7499.76포인트에서 3월 10일 0.02포인트로 급락했다. ETF 1좌의 NAV 역시 1만1051.02에서 158.11원으로 수직 하락했다.  
 
상품 가치가 급락하면서 한국거래소는 지난달 7일 이 상품의 매매를 정지시켰다. 유가증권시장 업무규정 제26조 및 시행세칙 제40조에 따라 이 상품이 투자유의 종목으로 지정되면서 투자자 보호 및 시장 안정을 위한 조치였다.  
 
이번 상장 유지 결정에 따라 해당 상품의 스와프 계약 규모는 기존 계약의 28.8% 수준으로 축소됐다. 기초지수가 과거 전쟁 이전 수준을 회복하더라도 상품의 NAV는 이전 수준을 회복하기 어려울 전망이다.  
 
한국투자신탁운용 측은 “러시아 주식시장이 정상화되더라도 MSCI가 러시아 주식에 적용하는 가격 체계(0.00001)를 원상 복구하지 않으면 ETF 성과는 러시아 시장과 다르게 움직일 수 있다”며 “향후 시장 위험과 변동성 확대에 따른 괴리율, 추적오차 발생 가능성을 유의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허지은 기자 hur.jieun@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갤럭시, 접고 끼고 AI 장착…‘언팩 초대장’ 보낸 삼성전자, 링·폴드·플립 공개

2이복현 “상속세·금투세 등 의견 피력…하반기 ‘골든타임’”

3토스뱅크·광주은행, 올해 3분기 ‘공동대출’ 출시

4연세의대 교수비대위 27일부터 '무기한 휴진'

5‘롯데 3세’ 신유열 시대 열린다...日 지주사 사내이사로

6M캐피탈 구원투수 나선 메리츠증권…평가 엇갈린 배경은

7우리금융, 1년 3개월간 금융사고 9건 발생

8경제 3단체 “주주가치 제고와 균형있는 제도 개선 방안 모색해야”

9한은 “자영업자 취약차주 비중 12.7%…채무재조정 필요”

실시간 뉴스

1갤럭시, 접고 끼고 AI 장착…‘언팩 초대장’ 보낸 삼성전자, 링·폴드·플립 공개

2이복현 “상속세·금투세 등 의견 피력…하반기 ‘골든타임’”

3토스뱅크·광주은행, 올해 3분기 ‘공동대출’ 출시

4연세의대 교수비대위 27일부터 '무기한 휴진'

5‘롯데 3세’ 신유열 시대 열린다...日 지주사 사내이사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