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밖 상황 심상찮다” 재계, 잇따른 사장단 회의
한화그룹, 지난 4일 주요 계열사 모여 대응책 논의
현대중공업그룹도 권오갑 회장 주재로 모여
한국앤컴퍼니, 전 계열사 임원 임금 20% 삭감
글로벌 공급망 위기에 금리 인상에 소비 위축 우려

한화·현대중공업 등 기업들 연이어 경영전략 수정 검토
사장단 회의에 참여한 부문은 한화솔루션케미칼과 첨단소재, 큐셀, 한화 에너지, 한화임팩트, 한화토탈에너지스 등이다. 각 계열사와 부문 CEO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전쟁, 중국의 ‘제로 코로나’ 정책으로 인한 상하이 봉쇄 등으로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음에도 매출 감소와 같은 직접적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봤다.

유화·에너지 부문 외에도 기계·항공·방산 부문, 금융 부문, 건설·서비스 부문 등 한화그룹 내 타 사업부문도 지난달 말 사장단 회의를 열고 최근 경제 상황에 대한 검토와 대책을 마련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대중공업그룹은 지난달 20일 조선해양·에너지 등 주요 10개 계열사 사장단 전체회의를 개최했다. 권오갑 회장 주재로 열린 회의에는 정기선 사장 등이 참석했다. 이 자리에선 세계 각국의 금리 인상 움직임, 원자재 가격 폭등 등 급변하는 경영 환경 변화가 연초 수립한 목표 추진에 미치는 영향을 점검하고 외부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대비책을 강구했다.
권 회장은 이날 회의에서 “앞으로의 위기는 그동안 우리가 겪었던 위기와 차원이 다를 수 있으므로, 각 계열사는 워스트 시나리오까지 감안해 검토하고, 대응책을 마련하는 등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수출기업 85% “공급망 위기로 인해 문제 겪고 있다”
삼성전자도 지난달 소속 네트워크사업부를 개편해 공급망 리스크를 관리하는 조직을 신설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지난 3일 발표한 ‘글로벌 공급망 위기와 우리 기업의 대응 현황'에 따르면 국내 수출기업 1094개사를 대상으로 진행한 조사에서 85.5%의 기업이 공급망 위기로 인해 문제를 겪고 있다고 응답했다. 이들 기업의 가장 큰 애로사항은 물류 지연, 운송비 폭등 등 ‘물류난(35.6%)’이었고, ‘원자재 가격 상승과 채산성 악화(27.8%)’, ‘특정 지역 봉쇄로 인한 피해(16.9%)’ 등의 순이었다.
아울러 전 세계에 걸쳐 동시다발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물가 상승과 함께 각국 중앙은행의 금리 인상 움직임도 기업들을 긴장하게 하는 요인이다. 소비심리 위축은 곧 기업 매출 하락으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한 재계 관계자는 “급등한 원자재 가격을 반영해 가격을 올리면 매출 신장에 타격이 오게 되고, 그마저도 팔리지 않게 되면 손해가 막심하다”며 “국내는 물론 미국도 올 한해 계속 기준금리를 올릴 것으로 보이는 등 불확실성이 커지는 상황에서 코로나19가 한창이던 지난 2년만큼 쉽지 않은 한 해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허인회 기자 heo.inhoe@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 민주 44.8%, 국힘 35.7% 오차 범위 밖 앞서... 정권교체 56.9%, 연장 37.0%
2 트럼프 “중국과의 무역적자 해결 안되면 中과 협상 없다”
3비트코인, 트럼프 상호관세 충격에 8만달러선 붕괴
4대기업 바라기 청년들?…임금 격차 무시 못해
5해외는 열고, 한국은 막고…가상자산 거래소 격차 커진다
6"교육비 감당 어쩌나?"…교육물가 금융위기 이후 최대 상승
7 미국 관세 강행, 지수 선물 일제 폭락…나스닥 5%↓
8‘일단 안된다’는 당국…경쟁력 잃는 국내 거래소들
9정부·대학·기업, 청년 취업난에 팔 걷어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