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여 개 감자 품종개발에 성공한 임영석 학장의 '농업혁명'
[인터뷰] 임영석 강원대 의생명과학대 학장
美 수미감자보다 생산량 30% 높인 신품종 ‘골든킹’ 개발 성공
골든킹 온도변화·병충해에 강해, GMO 부작용도 없어
1000여 개 품종 교잡해 개발…전통 육종 개발 모델 제시

유전자변형식품(GMO)이 밥상에 오른 지 20년이 지났지만, 유해성 논쟁은 여전하다. 어느 쪽도 자기주장에 대해 뚜렷한 근거를 내놓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GMO를 찬성하는 쪽에선 유해성을 입증한 연구 결과가 없다고 말하지만, 반대 진영에선 장기적인 영향은 알려진 바 없다고 반박한다.
그러다 보니 경제논리는 물론, 식량 주권과 글로벌 농업자본에 대한 반감 등 온갖 이데올로기가 뒤섞여 난전을 펼치고 있다. 찬성 진영에선 일반 농산물 대비 값싼 가격을 강조하지만, 반대쪽 진영에선 특정 글로벌 기업이 GMO 특허의 90% 이상을 독점하고 있는 점을 문제 삼는다. 식량 위기가 커지면 이들 글로벌 기업에 식량주권을 잃을 수 있다.
그런데 경제논리에서 전통적인 육종(종자개량)을 고집하는 학자가 있다. 임영석 강원대 의생명과학대 학장(생명건강공학과 교수)이다. 30여 년간 20개가 넘는 감자 품종을 개발했고, 이 중 일부는 미국에 기술료를 받고 넘겼다. 세계 최대 감자 주산지인 미국 아이다호에 임 학장이 개발한 품종이 퍼져가고 있는 것이다. 70년대 미국에서 수미감자를 들여온 지 50년 만이다.
최근엔 수미감자보다 생산량을 30% 늘린 품종을 개발했다. 2년간 시험 재배하며 가능성을 검증했다. 온도 변화에 강한 것이 최대 강점이다. 기후변화로 생산량 감소를 겪고 있는 전 세계 농업계에 희소식일 법하다. 임 학장은 “유전자변형이 아닌 육종 방식으로 23년 만에 일군 성과”라고 말했다.
GMO 반대 학자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도 반대 목소리를 내온 이유는.
몇 년 전 토종 종자로 옥수수를 키우는 농가에 갔었다. 대형마트에서 파는 품종보다 맛은 고소했지만, 생산량이 기존 품종의 30% 미만이라고 하더라.
품종 등록까지 과정이 어떻게 되나?
그렇게 만든 품종으로 GMO와 경쟁할 수 있나?
기존 품종에 한계가 많았던 건가?
그밖에도 지금까지 감자 품종 21개를 개발해왔다.
최근엔 산업용 대마(헴프)로 눈길을 돌렸다.
감자와 관계가 있나?
의료용으로 쓰는 데 조건이 있나?
학장인데 작업복 입은 사진이 더 많다.
특히 감자에 몰입하는 이유가 있나.
문상덕 기자 mun.sangdeok@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중견 건설사 이화공영, 기업회생 신청…‘상장폐지 예고’ 무슨일
2인도 출신 엔지니어 영입해 부족한 개발자 문제 해결한다
3외국인 국내 주식 투자 쉬워진다
4소득 적을수록 체감물가 높다...식료품·주거비 특히 부담
5300만명 몰리는 여의도 벚꽃축제…尹탄핵심판 선고에 일정 연기
6서울경찰청, 통신사와 공조해 보이스피싱 막았다...첫 현장 사례 눈길
7조주완 LG전자 CEO, 2억원 자사주 매입…‘주가 방어’ 메시지 던졌다
8‘탈탄소’ 접은 월가, 다시 화석연료 품는다
9‘부자아빠’ 기요사키가 비트코인 대신 찍은 이 투자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