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시의 지하에는 지상만큼은 아니지만 수많은 시설물이 복잡하게 설치돼 있습니다. 지하도와 지하철은 물론 상수도와 하수도, 도시가스, 전기, 통신선 등이 촘촘하게 신경망처럼 뻗어 있습니다. 이런 시설물을 관리하기 위해 사람이 드나드는 출입구인 ‘맨홀(MANHOLE)’은 기점과 합류점, 변곡점과 긴 구간의 중간 등 한의학에서 말하는 인체의 ‘경혈(經穴)’ 같은 지점에 자리 잡고 있습니다.

‘2016년 서울시 통계보고’에 따르면 서울 시내에 59만4000개의 맨홀이 있다고 합니다. 주철로 만든 맨홀 뚜껑은 쉽게 파손되지 않아 오랜 시간이 지나도 그대로 사용하는데, 없어진 정부부처나 회사의 이름을 달고 있는 경우도 흔합니다. 심지어 서울 새문안로 서울역사박물관 앞 도로에는 일제강점기인 1930년대 경성전기주식회사 로고가 박힌 것도 눈에 띕니다(맨 위 사진). 멋지게 드러나진 않지만, 맨홀은 우리 발밑에서 도시의 역사를 기억하고 있습니다.
신인섭 선임기자 shinis@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국민의힘, ‘조희대·한덕수 회동’ 의혹 제기 서영교·부승찬 고발하기로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19살차 아내 죽으면 보험금으로…충격 사연은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단독]납부능력 없는 국민, 국세체납액도 5000만원까지 탕감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스타트업도 한류? 日고베시, 한국 스타트업 ‘정조준’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뜨거워지는 ‘ECM 스킨부스터’ 시장…호시절 끝나나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