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지방은행, 너마저” 지방살림 줄인다…‘경기침체·디지털화’ 못 버텨

지난해 5대 지방銀 영업점 55곳 사라져
타 기관 협약·이동점포 등 대안 내놔

 
 
BNK·DGB·JB 등 지방금융그룹 본사 전경. [사진 각 사]
국내 지방은행들이 경기 침체와 디지털화 등의 여파로 ‘지방 살림’을 줄였다. 지난 한 해 동안 부산·경남·대구·광주·전북 등 5대 지방은행의 영업점 수는 모두 줄었다. 코로나19 사태가 지속되면서 침체된 지역 경기 탓에 올해도 각 지방은행들은 영업점 통폐합을 고려하고 있다. 이에 지역에 있는 고령층 고객의 금융 편의성이 떨어질 것이라는 우려도 짙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각 은행들은 이동 점포 운영, 고령 고객 대상 금융 서비스 등을 확대하고 있다.

 
지방은행 영업점 수 추이.

지방은행 영업점 생산성 ↓ ‘슬림화’ 불가피

24일 금융감독원 금융통계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말 5대 지방은행의 영업점(출장소 포함)은 856곳이다. 이는 전년 말 801곳보다 줄어든 수준으로, 1년 사이 평균적으로 각 은행 당 영업점이 11곳이나 줄어든 셈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지방의 지속적인 인구감소와 내점고객 감소에 따라 지방은행 또한 영업점 축소 필요성이 컸지만, 지역민 편의를 감안해 영업점 감소 폭을 최소화 해오고 있었다”면서 “하지만 최근 코로나19 사태와 디지털화까지 겹치면서 이제는 운영 효율성을 따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토로했다. 
 
특히 지방은행의 영업점은 각 은행이 근거지를 둔 지역에서 주로 줄었다. 부산은행은 부산에서 영업점이 16곳 줄었다. 경남은행은 경상도에서 12곳, 대구은행은 대구에서 11곳 줄었다. 전북은행과 광주은행은 다른 은행 대비 영업점 감소폭이 작았다. 광주은행은 근거지인 광주에서의 영업점은 유지했고. 전북은행은 출장소 2곳만 사라졌을 뿐이다. 그럼에도 이 두 은행 또한 영업점 효율화에 대한 고민은 깊은 상황이다.  
 
최근 금융권 내 퍼진 디지털화로 지방은행의 점포 생산성이 떨어지고 있다. 코로나19 사태로 영업점 방문 고객이 감소했고, 모바일뱅킹으로 환경이 변화하면서 그동안 버텨왔던 영업점 유지비용이 한계 기준을 넘어선 것이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은행의 창구 이용률은 5.8%, CD·ATM(자동화기기) 이용률은 3.5%에 그쳤다. 반면 인터넷뱅킹 등 온라인거래 이용 비중은 74.7%에 달한다. 
 
이에 따라 추후 지방은행은 인접 지역의 영업점을 하나로 묶는 등 통폐합을 지속적으로 고려하고 있다. 경남은행의 경우 올해 영업점 3곳을 추가로 폐쇄할 예정이다. 주요 영업구역 내 적자점포를 정리해 효율성을 추구하겠다는 것이다. 
 

지방은행 “고객 불편 최소화 노력 중”

지방은행의 점포 감소로 고령층 고객의 이용 편의성이 떨어진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병윤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원은 “디지털금융의 확산에 따라 은행 점포의 기능이 축소되고 있는 것은 사실”이라면서도 “비대면 채널이 해결하기 어려운 대면 채널만의 기능이 있는 것이고, 지방은행이 없어진다면 지역민들에 대한 서비스는 축소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수도권 위주로 영업하는 주요 시중은행의 경우, 영업점 통폐합에 따른 고객 불편 최소화를 위해 경쟁 은행과 한 곳에서 영업하는 공동점포를 선보이기도 했다. 하나은행과 우리은행이 지난달 25일 경기 용인시 수지구 신봉동 개점한 공동점포가 대표적이다. 두 은행은 고령층 등 디지털금융을 어려워하는 계층과 인근 지역 주민들의 금융 접근성을 개선하기 위해 공동점포를 만들었다. 이 밖에 KB국민은행은 이마트24와 손을 잡고 편의점 안에서 은행 업무를 보는 ‘금융 전문 편의점’ 두곳을 오픈했다.
 
하지만 지방은행은 각 지역별 거점은행으로 출범해, 관할 지역 위주로 자리를 잡고 있는 만큼 이 또한 쉽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대구은행은 편의점 세븐일레븐과 ‘동거’를 택했다. 지난달 대구은행은 세븐일레븐과 제휴해 편의점 내 은행 점포를 냈다. 고객 접근성이 높은 편의점과 협업해 대면 영업 채널을 대체하겠다는 복안이다. 또한 고객을 직접 찾아가는 이동점포인 ‘포터블 DGB’를 대구 및 경북지역 등에 매월 정기적으로 확대 운영 중이다.
 
부산은행은 고령 고객 대상 서비스 확대에 초점을 맞췄다. 올해는 만 65세 이상의 고객들이 이용할 수 있는 ‘어르신 전용상담센터’를 열었다. 이 센터를 이용하는 고객은 어려운 금융용어를 쉽게 설명들을 수 있고, 예금·대출·신탁·전자금융 등 모든 은행 업무에 대해 상담이 가능하다. 또한 부산은행은 지역별 거주 인구현황을 분석해 금융 소외 지역을 선정한 후 이동점포도 운영 중이다. 
 
경남은행은 폐쇄한 영업점의 대면 창구는 없애도, 자동화코너는 유지하고 있다. 올해 하반기부터는 화상기기를 통해 상담직원과 업무가 가능한 디지털데스크도 도입할 예정이다. 전북은행은 우체국과 창구 제휴를 통해 입출금, 통장재발급 등 은행의 기본적인 업무가 가능하도록 했다. 
 
이 연구원은 “최근 디지털 및 모바일 금융이 확산되면서 비대면 거래가 증가하고 있어 상대적으로 많은 점포를 보유하고 있는 지방은행들은 비용부담이 큰 실정”이라며 “점포 수의 축소를 최소화하면서도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율적인 점포 관리 방안으로 기존 점포를 지역거점 점포와 주변점포로 그룹화하는 ‘허브앤스포크(hub and spoke)’ 전략을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김윤주 기자 kim.yoonju1@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전국 삼겹살 가격, "제주도 제일 비싸네"

2자영업자 대출, 1112조 돌파...코로나 후 50% 늘었네

3‘감칠맛’ 찾는 소비자 덕…식품 시장 조용한 강자된 ‘이것’

4“디자인 왜 이래?” 현대차·기아 운명 바꿨다

5경기권 학생 비중 늘어나는데…의대 진학 역차별 벌어지나

61119회 로또 1등 번호 1·9·12·13·20·45…보너스 번호 3

7“손흥민 아니었어?”…토트넘 팬이 뽑은 올해의 선수는

8‘법원 전산망 해킹’ 개인정보 유출…北 소행 결론

9홍준표 “좌우 공존하는 선진대국시대…마지막 꿈일지도”

실시간 뉴스

1전국 삼겹살 가격, "제주도 제일 비싸네"

2자영업자 대출, 1112조 돌파...코로나 후 50% 늘었네

3‘감칠맛’ 찾는 소비자 덕…식품 시장 조용한 강자된 ‘이것’

4“디자인 왜 이래?” 현대차·기아 운명 바꿨다

5경기권 학생 비중 늘어나는데…의대 진학 역차별 벌어지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