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인 하락장서 나홀로 16% 오른 트론…근데 ‘제2의 루나’라고?
‘테라 파괴자’로 주목…5일 스테이블 코인 USDD 발행
문제는 ‘알고리즘’형…루나 사태 이후 시장 우려 ↑
트론 CEO “테라 실패는 단점도 있지만 새 프로젝트에 교훈”

트론 가격은 코인마켓캡 기준 24일 오후 3시 99.32원을 나타냈다. 이날 오전 3시경에는 102.97원을 기록해 일주일 전인 17일 오전 3시 88.52원 대비 16.32%나 올랐다. 트론의 시가총액은 9조4401억원까지 증가해 17위 폴리곤(MATIC), 16위 시바이누(SHIB) 등을 제치고 14위까지 치고 올라왔다.

당시 저스틴 선 트론 최고경영자(CEO)는 “USDD가 위험이 없는(zero-risk) 30%의 연간 수익률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USDD 보유자들의 스테이블 코인을 관리하기 위해 최근에 설립된 트론 DAO(탈중앙화 자율조직) 리저브를 통해 높은 수익률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며 “진정한 금융의 자유를 추구하는 인류의 위대한 도약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USDD는 가격이 1달러 이하로 내려가면 시스템에 USDD 1개가 전송돼 이용자가 1달러 상당의 트론을 받을 수 있고, USDD가 1달러 이상이 되면 1달러 상당의 트론이 시스템으로 보내지고 이용자가 1 USDD를 받게 된다. 저스틴 선은 “USDD 프로토콜은 이처럼 탈중앙화된 방식으로 적절한 알고리즘을 통해 USDD와 달러의 일대일 비율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루나·UST도 ‘알고리즘 스테이블코인’였다

다시 말해 담보형 스테이블 코인은 발행 재단 등이 투자자가 보유한 해당 코인만큼 달러를 갖고 있다고 확인해주면 되기 때문에 비교적 안정성이 높다. 하지만 알고리즘 스테이블 코인은 그 가격을 떠받치는 대상이 달러 등 법정화폐가 아닌 또 다른 코인이기 때문에 신뢰성이 떨어지면 무너지기 쉽다.
이 때문에 지난 18~19일 국내 주요 암호화폐 거래소들은 이번 루나 사태로 스테이블 코인에 대한 우려가 커지자 상장된 관련 종목들을 일제히 공지하고 유의사항을 안내했다. 업비트·빗썸·코인원·코빗 등 4개 거래소 모두 상장된 스테이블 코인 관련 종목이 바로 트론이었다.
코인원은 “알고리즘 방식의 스테이블 코인은 내재한 시스템이 의도대로 작동하지 않으면 급격한 시세 변동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다른 거래소들도 “트론의 유통량에 관한 사항이 USDD와 상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USDD 가치가 달라지면 트론의 시세가 변동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 루나 사태가 한창이던 11일 100원 내외로 가격을 형성하던 트론은 숏(매도) 세력이 몰려 오후 8시경 83원 수준으로 급락한 바 있다. 저스틴 선은 이를 방어하기 위해 20억 달러를 투입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현금, 단기 유가증권 같은 전통 자산으로 뒷받침되는 USDC(시총 5위 스테이블 코인)를 언급하면서 “암호화폐 외부의 제3자에 의해 통제되지 않는 스테이블 코인이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테라의 실패가 알고리즘 스테이블 코인의 단점을 보여주기도 했지만, 새 프로젝트가 이로부터 교훈을 얻을 기회도 제공했다”고 덧붙였다.
윤형준 기자 yoon.hyeongjun@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싹 가능!”…카스 0.0, 알코올 걱정 없는 논알콜 캠페인 시작
2한국의 스테이블코인 도입, 은행들이 선도한다
3KGM, ‘2025년 파트너스 데이’ 개최…미래 전략과 동반 성장 비전 제시
4창고43, ‘프리미엄 한우 다이닝’ 정체성 담은 신규 BI 공개
5정상적인 면역기능 돕는 조아제약 '면역칸에스'…하루 1앰플로 간편하게
6글로벌 완성차 전쟁터 ‘서울’...각양각색 ‘브랜드 철학’ 총집합
7서울에서 펼쳐진 ‘모빌리티 미래’...현대차그룹이 주도하는 ‘패러다임’
8“봄엔 솔로탈출 기원” 국민‧하나‧우리 ‘은행판 나는 솔로’ 개최 사연은?
9“더 내려갈 수 있는 거였어?” …또 2500 깨진 코스피에 ‘망연자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