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글로벌 원자재가 상승…6월 중소기업 경기 전망 '악화'

6월 SBHI는 86.1…전월比 1.5p 하락
내수 부진·인건비 상승도 어려움 가중

 
 
윤석열 대통령이 5월 25일 용산 대통령실 청사 앞 잔디마당에서 열린 2022 대한민국 중소기업인대회에서 김기문 중소기업중앙회장과 함께 입장하고 있다. [사진 대통령실사진기자단]
소비심리 회복이 지연되고 국제 원자재가격 상승이 지속하면서, 중소기업의 6월 체감 경기 전망이 지난달보다 나빠진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중앙회는 지난 16일부터 23일까지 3150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6월 중소기업경기전망조사'를 실시한 결과 6월 업황 경기전망지수(SBHI)가 86.1로 5월보다 1.5포인트 낮아졌다고 30일 밝혔다.  
 
경기전망지수는 100보다 높으면 경기 전망을 긍정적으로 보는 업체가 많다는 뜻이다. 100보다 낮으면 그 반대를 뜻한다.
 
제조업은 87.1로 전월 대비 1.7포인트 하락했고, 비제조업은 85.5로 1.4포인트 떨어졌다. 제조업에서는 '기타기계 및 장비'(89.9),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85.7)을 중심으로 7개 업종에서 상승했다. '목재 및 나무제품'(80.7), '금속가공제품'(81.9) 등 15개 업종에 대한 전망이 나빠졌다.  
 
비제조업에서는 건설업(82.2), 서비스업(86.2) 모두 전망이 악화했다. 서비스업 가운데 '교육서비스업'(78.8), '출판, 영상, 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91.7)을 중심으로 4개 업종에 대한 전망치가 좋아졌다. 반면 '예술, 스포츠 및 여가 관련 서비스업'(92.4), '수리 및 기타개인서비스업'(78.9) 6개 업종 경기전망지수는 하락했다.
 
최근 3년간 6월 항목별 SBHI 평균치와 비교해보면 제조업에서는 원자재 전망을 제외한 경기전반, 생산, 내수, 수출, 영업이익, 자금사정 전망은 물론 역계열인 설비·재고·고용전망 모두 이전 3년 평균치보다 개선될 것으로 전망됐다. 비제조업은 모든 항목에서 개선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한편, 5월 중소기업이 꼽은 경영상 어려움은 내수 부진(54.0%)이 가장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원자재 가격 상승(51.7%), 인건비 상승(43.4%), 업체 간 과당경쟁(39.4%) 도 중소기업을 어렵게 하는 요인으로 조사됐다. 

이병희 기자 yi.byeonghee@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한국 관세 행정명령 부속서엔 25% 아닌 26%…백악관 "부속서 따라야"

2'펭리둥절' 남극에도 트럼프 관세?…"안전한 곳 없어"

3경북도, 산불피해 농어촌에 긴급자금 200억 지원

4구미시 "낙동강 따라 걷고 쉬고 즐긴다"

5울진대게, 대한민국 대표 브랜드 9년 연속 선정

6경주 벚꽃마라톤, 봄바람을 가르며 1만 5천여 명의 질주

7"수사는 안 하고 달력만 넘긴다" 홍준표 수사, 6월에는 결론날까?

8"일본산, 이젠 안녕!" 울진군, 동해안 방어 양식시대 개막

9"글로벌 인재로 미래 연다" 경북도, 3일부터 광역형 비자 시행

실시간 뉴스

1한국 관세 행정명령 부속서엔 25% 아닌 26%…백악관 "부속서 따라야"

2'펭리둥절' 남극에도 트럼프 관세?…"안전한 곳 없어"

3경북도, 산불피해 농어촌에 긴급자금 200억 지원

4구미시 "낙동강 따라 걷고 쉬고 즐긴다"

5울진대게, 대한민국 대표 브랜드 9년 연속 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