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터리 소재‧수소 등 친환경 사업으로 도약할까

1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이날 기준으로 롯데케미칼의 2분기 연결기준 영업이익 컨센서스(증권사 전망치 평균)는 618억원으로 집계됐다. 연간 연결기준 영업이익 컨센서스는 5244억원으로 나타났다. 롯데케미칼의 지난해 연결기준 영업이익이 1조5356억원에 달한다는 점을 감안하면 대폭 줄어든 수치다. 국제유가 상승에 원가 부담이 커지면서 실적 부진이 지속될 것이란 전망이다.
롯데케미칼 주가 역시 좀처럼 반등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전날(6월 30일) 롯데케미칼 주가는 전일보다 2.96% 하락한 18만원에 마감해 52주 신저가를 기록했다. 종가 기준으로 지난해 6월 30일 롯데케미칼 주가(26만2500원)와 비교하면 아쉬운 주가 흐름이다. 다만 이날 롯데케미칼 주가는 전일보다 2.50% 오른 18만45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증권업계에선 올해 롯데케미칼 실적에 대해 엇갈린 전망이 나온다. 한편에선 올해 고유가 상황이 지속되면서 롯데케미칼을 비롯한 석유화학업체들이 전반적으로 실적 악화에 시달릴 것이란 의견이 나온다. 다른 한편에선 상반기와 비교해 하반기에 고유가 상황이 다소 진정되고 원가 부담이 완화되면서 3분기부터 석유화학업체들의 실적 개선이 기대된다는 예측도 제기된다.
“실탄은 충분”…친환경 사업에 ‘심혈’
여기에 롯데케미칼은 블루수소(화석연료를 이용해 수소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이산화탄소를 포집·저장한 수소) 생산을 위한 하이브리드 이산화탄소 포집 액화 공정 기술 개발에도 나선 상태다. 롯데케미칼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CCU(이산화탄소 포집 및 활용) 분야 국책 과제에 참여하는 12개 기관 중 공동 연구기관으로 선정됐는데, 일일 100t 이상의 이산화탄소를 포집해 활용하는 공정을 개발 중이다.
석유화학업계에선 롯데케미칼의 재무 상황 등을 감안하면 향후 친환경 사업 확대를 위한 자금 동원력은 충분할 것이란 의견이 많다. 롯데케미칼의 부채비율이 지속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긴 하지만, 여전히 60% 미만 수준인 데다, 1분기 말 기준으로 유동자산(1년 이내에 환금할 수 있는 자산)도 10조원에 육박하는 등 재무 구조 탄탄하기 때문이다.
이창훈 기자 hun88@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많이 본 뉴스
MAGAZINE
MAGAZINE
Klout
Klout
섹션 하이라이트
섹션 하이라이트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 모아보기
- 일간스포츠
- 이데일리
- 마켓in
- 팜이데일리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충청서 압승 거둔 이재명…득표율 88.15%(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어머니, 아버지 저 장가갑니다”…‘결혼’ 김종민 끝내 눈물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충청서 압승 거둔 이재명…득표율 88.15%(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EU있는경제]투자만이 살 길…PE 규제 허물고 반등 노리는 英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동물실험 폐지 명암] 투심 쏠린 토모큐브, 빅파마가 주목하는 까닭①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