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들어 40% 밑돌아, 금리인상·집값하락 영향 커

최근 금리인상 기조로 인해 국내 아파트 매수에 큰 비중을 차지했던 ‘패닉바잉’의 주인공, 30대 이하 젊은 세대의 주택 구매가 주춤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부동산원은 올해 1월부터 지난달까지 5달 동안 서울 아파트 거래량 7917건 중 30대 이하 연령대의 매수 비중이 3063건으로 전체의 38.7%를 차지했다고 5일 밝혔다.
30대 이하 서울 아파트 매수 비중이 40%를 넘지 못한 것은 2020년 하반기 이후 처음이다. 30대 이하 매수 비중은 2020년 하반기 40.2%를 기록한 이래 지난해 상반기 41.4%, 하반기 42.0%로 40%를 웃돌며 소폭 증가했다.
월별로 보면 올해 1월 37.5%, 2월 36.0%였던 매수 비중이 대선 이후 규제완화 및 개발 기대감으로 3월 40.7% 4월 42.3%로 잠시 상승했다가 5월에 다시 37.4%로 하락하는 흐름을 보였다.
서울뿐 아니라 전국에서도 30대 이하 매수 비중이 올해 5월까지 평균 29.0%를 기록하며 2020년 하반기부터 30%를 넘겼던 수치가 내려앉았다.
이는 지난해까지 집값이 가파르게 상승하며 젊은 층 사이에서 일명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은 대출)’을 통해 서둘러 집을 구매해야 한다는 심리가 팽배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올해 들어 금리인상 우려가 커지고 집값 상승세 역시 주춤하면서 이 같은 수요가 한풀 꺾인 것으로 분석된다. 주택 구매 시 대출을 많이 받는 20대와 30대 특성상 금리인상으로 인한 부담이 더 커질 수 있기 때문이다. 1일 한국감정원 통계 발표에 따르면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6주 연속 하락해 6월 넷째 주 89.9를 기록하며 90을 밑돌았다.
민보름 기자 brmin@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위성락 “조속한 한미 정상회담 공감대…궁극적 목표는 무관세”(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팜이데일리
이데일리
[단독] 박은영 전 아나, 두 아이 엄마 된다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단독]공매도 도입한 코인 거래소…당국, 투자자 보호 입법 추진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왓챠, CB 투자자가 회생절차 신청…"철회 요청, 협의 중"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큐렉소, FDA 늦어도 방향성 확실…이익·주도권 쥐고 미국시장 공략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