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브레이크 걸린 ‘패닉바잉’…2030세대 아파트 구매비중↓

올해 들어 40% 밑돌아, 금리인상·집값하락 영향 커

 
 
서울 시내 한 은행 대출창구 모습. [연합뉴스]
 
최근 금리인상 기조로 인해 국내 아파트 매수에 큰 비중을 차지했던 ‘패닉바잉’의 주인공, 30대 이하 젊은 세대의 주택 구매가 주춤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부동산원은 올해 1월부터 지난달까지 5달 동안 서울 아파트 거래량 7917건 중 30대 이하 연령대의 매수 비중이 3063건으로 전체의 38.7%를 차지했다고 5일 밝혔다.
 
30대 이하 서울 아파트 매수 비중이 40%를 넘지 못한 것은 2020년 하반기 이후 처음이다. 30대 이하 매수 비중은 2020년 하반기 40.2%를 기록한 이래 지난해 상반기 41.4%, 하반기 42.0%로 40%를 웃돌며 소폭 증가했다.  
 
월별로 보면 올해 1월 37.5%, 2월 36.0%였던 매수 비중이 대선 이후 규제완화 및 개발 기대감으로 3월 40.7% 4월 42.3%로 잠시 상승했다가 5월에 다시 37.4%로 하락하는 흐름을 보였다.
 
서울뿐 아니라 전국에서도 30대 이하 매수 비중이 올해 5월까지 평균 29.0%를 기록하며 2020년 하반기부터 30%를 넘겼던 수치가 내려앉았다.
 
이는 지난해까지 집값이 가파르게 상승하며 젊은 층 사이에서 일명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은 대출)’을 통해 서둘러 집을 구매해야 한다는 심리가 팽배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올해 들어 금리인상 우려가 커지고 집값 상승세 역시 주춤하면서 이 같은 수요가 한풀 꺾인 것으로 분석된다. 주택 구매 시 대출을 많이 받는 20대와 30대 특성상 금리인상으로 인한 부담이 더 커질 수 있기 때문이다. 1일 한국감정원 통계 발표에 따르면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6주 연속 하락해 6월 넷째 주 89.9를 기록하며 90을 밑돌았다.

민보름 기자 brmin@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제1167회 로또 1등 10명…당첨금 1인당 28억8400만원

2가수 우즈 측, 故 김새론 열애설에 “아티스트 사생활…확인 어려워”

3‘위증교사’ 재판받던 전북교육감 처남, 차 안서 숨진 채 발견

4민주, '당원투표 50%·국민여론조사 50%'로 대선 후보 선출

5광명 붕괴사고 하루 경과…실종자 수색작업 총력

6더불어민주당 “尹, 개선장군 행세하며 '퇴거쇼'…퇴근시간 퍼레이드 민폐”

7안철수, 오세훈 불출마에 “마음이 숙연…당 재건 위해 큰 역할 해주길”

8넥써쓰, 중국 이어 두바이까지…해외 진출 본격화

9오세훈 서울시장, 대선 불출마…“비정상의 정상화 위해 백의종군”

실시간 뉴스

1제1167회 로또 1등 10명…당첨금 1인당 28억8400만원

2가수 우즈 측, 故 김새론 열애설에 “아티스트 사생활…확인 어려워”

3‘위증교사’ 재판받던 전북교육감 처남, 차 안서 숨진 채 발견

4민주, '당원투표 50%·국민여론조사 50%'로 대선 후보 선출

5광명 붕괴사고 하루 경과…실종자 수색작업 총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