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0만명 생계 위협…모든 불법 행위 철저 수사”

박 사장은 “위중한 전환기에 거통고조선하청지회는 불법 파업을 강행했고, 그 과정에서 직원 폭행, 에어 호스 절단, 작업자 진입 방해, 고소차 운행 방해, 1독(dock) 점거, 물류 적치장 봉쇄 등의 무법적 행위를 자행했다”며 “건조 중인 선박 위에서 고공 농성 등을 하고 6월 18일 예정된 1독 진수(進水)를 막아섰다”고 설명했다.
이어 “1독에서 건조 중인 호선은 모두 4척으로 인도가 무기한 연기되고 있다”며 “내업에서 외업으로 넘어가는 재공재고 블록이 증가하면서 내업 공정도 조만간 중단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는 “2독과 플로팅 독 또한 인도 4주 지연, 안벽에 계류된 일부 선박들도 1~3주 인도 지연 영향을 받고 있다”고 했다.
박 사장은 “진수 지연은 하루에 매출 감소 약 260억원, 고정비 손실 약 60억원을 발생시킨다”며 “매출과 고정비 손실만 6월 말까지 2800억원이 넘는 셈”이라고 밝혔다. 또 “여기에 LD(인도 일정 미준수로 인한 지체보상금)까지 감안하면 공정 지연 영향 금액은 더 커질 것으로 보인다”고 토로했다.
그는 “문제는 1독 진수를 언제 할 수 있을지 기약이 없다는 것이고, 더욱 심각한 것은 조선소의 심장인 독이 폐쇄됨에 따라 선후 공정인 선행, 가공, 조립, 의장, 도장 등 전 공정의 생산량을 조정할 수밖에 없어 사내 직영 및 협력사 2만명, 사외 생산협력사 및 기자재 협력사에 소속된 8만명 등 총 10만명의 생계 또한 심각한 위협을 받게 된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박 사장은 “어제 공종별 부하에 따라 O/T(초과근무)와 특근 조정, 야간 작업 중단 등의 생산 일정 조정을 발표했고, 사태가 장기화될 경우 주간 근무시간 축소도 불가피해 보인다”며 “임원은 24시간 비상 체제를 가동하고 현 위기 해소에 앞장서기로 했다”고 했다.
이어 “지금 피해가 대우조선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향후 전체 조선업으로 확산돼 대한민국 조선 산업의 존립을 위태롭게 할 수 있으므로 국가기간산업에서 벌어진 작업장 점거, 직원 폭행, 설비 파손, 작업 방해 같은 모든 불법 행위에 대해 철저히 수사하고 법질서를 바로잡아 달라”고 호소했다.
이창훈 기자 hun88@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많이 본 뉴스
MAGAZINE
MAGAZINE
Klout
Klout
섹션 하이라이트
섹션 하이라이트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 모아보기
- 일간스포츠
- 이데일리
- 마켓in
- 팜이데일리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尹, 사저정치 시동거나…'윤어게인 신당' 주역들과 회동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김종민·에일리·심현섭, 오늘(20일) 결혼… 연예인 하객들 바쁘겠네 [왓IS]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1만원대 맞아?” BBQ 치킨에 짬뽕 무한리필 끝판왕 뷔페[먹어보고서]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한화에어로 유증 여전히 물음표…또 제동 걸렸다[위클리IB]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국내 TPD 회사는 저평가 되었나…당면한 숙제는 '임상'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