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은행권 금산분리 완화 등 규제 재정비 건의
보험사, 손보사 자회사 둔 생보사 나올 수도
김주현 금융위원장 “고정관념 의심해 새로운 판 짜겠다”

금융위원회는 19일 열린 제1차 금융규제혁신 회의에서 이런 내용을 담은 금융규제혁신 추진방향을 전했다. 금융위는 지난 6월부터 8개 금융권 협회를 상대로 수요조사를 해 234개 건의사항을 접수했다. 금융위는 이를 토대로 4대 분야, 9개 주요과제, 36개 세부과제를 보고했다.
먼저 은행권의 비금융 분야 진출을 가로막는 금산분리가 추진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 통해 은행이 사용자환경(UI/UX) 디자인회사, 부동산회사 등 생활서비스 업체 인수하거나 운영해 복합적 금융사로 발전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현재는 현재 은행법상 금융회사는 비금융회사에 대해 15% 이내 지분투자만 가능하도록 제한하고 있다. 하지만 디지털 금융 혁신에 대한 과감한 투자를 위해서는 규제를 풀어야 한다는 게 업계의 입장으로 알려졌다.
가상자산 업무와 관련해서도 은행사가 가상자산 관련 업무 할 수 있어야 한다는 건의가 나와 세부과제 중 하나로 채택됐다. 이밖에 외부자원 및 디지털 신기술 활용 활성화하는 방안도 주요 과제에 담겼다. 대표적으로 은행의 신용평가업무를 상거래 정보 활용이 가능한 플랫폼 업체에 위탁할 수 있게 해달라는 요구 등이 거론됐다.
금융지주사가 은행 고객 정보를 계열사 간 공유할 수 있도록 해 금융지주사 통합 앱에서 고객맞춤형 서비스가 가능하게 해달라는 요구도 반영됐다.
보험사들은 ▶보험그룹 내 1사 1 라이선스 규제 완화 ▶헬스케어 서비스 활성화 ▶디지털기술을 활용한 보험모집 규제 개선 등을 건의했다. 1사 1 라이선스 규제가 완화되면 생명보험사가 손해보험 자회사를 설립하거나 손보사가 생명보험 자회사를 설립하는 게 가능하다.
자본시장과 관련해선 대체거래소(ATS) 도입이 거론됐다. 가상자산, 조각투자 등 디지털 신산업과 관련해서도 디지털자산기본법 제정이 요구 사안으로 나왔다.
금융위는 다음 달 초까지 분과별 회의를 통해 작업계획을 확정하고 과제별 검토 작업을 한다. 이어 다음 달에 제2차 금융규제혁신 회의를 여는 등 매달 회의를 개최해 혁신과제를 처리할 계획이다. 아울러 업계, 학계, 언론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와 토론을 진행해 개혁 과제를 추진할 방침이다.
김주현 금융위원장은 “금융산업을 지배하고 있는 어떠한 고정관념에도 권위를 부여하지 않고 근본부터 의심해 금융규제의 새로운 판을 짜겠다”고 말했다.
이용우 기자 ywlee@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그냥 할아버지"..트럼프, 오랜만에 안경 쓴 모습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팜이데일리
이데일리
'이특 누나' 안타까운 소식…"아직 울컥해" 왜?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이러다 중국이 가장 먼저 탄소중립?' 농담 나오는 이유는…"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신평 3사, 롯데지주·롯데케미칼 신용등급 일제히 강등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4연상했던 에이비온, 29.75% 급락한 사연…유틸렉스 ‘강세’[바이오 맥짚기]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