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네이버 5개 계열사 노조 쟁의 찬반투표, 80% 이상 찬성률로 가결
카카오모빌리티 매각 두고 사측과 노조 평행선 달려

네이버에선 조만간 IT업계에선 보기 드문 쟁의 행위가 벌어질 것으로 보인다. 네이버 노동조합 ‘공동성명’은 7월 14일부터 15일 이틀간 진행된 네이버 5개 계열사에 대한 쟁의 찬반투표 결과 모든 회사가 80% 이상의 찬성률로 가결됐다고 밝혔다.
이들은 조만간 사측을 상대로 단체행동에 돌입한다. 사측과의 단체교섭이 결렬됐기 때문이다. 노조는 엔테크서비스, 엔아이티서비스, 그린웹서비스, 인컴즈, 컴파트너스 등 네이버의 5개 손자회사의 임금 인상과 처우 개선을 요구했다. 본사의 성장 과실을 계열사에도 나눠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들 법인은 네이버의 자회사인 네이버아이앤에스가 100%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구체적으론 현재 본사 초봉의 50~60%에 불과한 이들 계열사 신입 직원의 연봉을 10% 인상하고, 직장 내 괴롭힘 예방 및 조사 전담 기구를 설치할 것을 요구했다. 그럼에도 사측이 요구안에 못 미치는 연봉 인상률을 제시했고, 일부 단체 협약 사항을 두고 수용 불가 방침을 밝히면서 교섭이 결렬됐다.
네이버의 경쟁사인 카카오 역시 내홍이 심각하다. 카카오모빌리티의 매각 이슈를 두고 노조와 평행선을 달리고 있다. 사측은 팔겠다는 입장이고, 노조는 매각을 반대하고 있다.
현재 카카오는 보유 중인 카카오모빌리티 지분 일부를 매각해 최대주주에서 2대주주로 전환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사모펀드인 MBK파트너스가 매각 상대방으로 거론되고 있다. 카카오는 카카오의 주주 가치 증대와 카카오모빌리티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 매각을 검토하겠다고 설명했지만, 카카오 노조는 납득하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노조의 매각 반대 움직임은 구체화하고 있다. 카카오 노조가 진행 중인 매각 반대 서명 운동에 카카오 계열사 임직원 약 1600여 명이 참여했다. 오는 25일엔 MBK파트너스 매각에 반대하는 집회에도 참여할 예정이다.
노조 측은 사모펀드에 지분을 매각하면 카카오모빌리티가 그간 쌓아온 방대한 데이터를 활용하는 방안이 문제가 될 수 있고, 단기 이익을 추구하는 사모펀드의 특성상 이용료가 인상될 수 있어 소비자 피해로도 이어질 것이라고 우려하고 있다.
두 회사의 노조가 내는 목소리는 별개의 이슈처럼 보인다. 그렇지만 성장에 따른 과실을 제대로 나누고, 사회적 책임을 요구한다는 점에서 같다. 네이버와 카카오가 당장 눈앞의 갈등을 해소한다고 해도 또다시 노조와 반목할 가능성은 크다.
이들 기업을 둘러싼 경영 환경이 녹록하지 않다. 당장 미국 빅테크만 해도 인플레이션, 금리 인상 등의 여파로 허리띠 졸라매기에 나서고 있다. 트위터, 메타, 아마존, 구글, 애플 등이 신규 채용을 줄이거나 중단했고, 마이크로소프트, 테슬라, 넷플릭스 등은 기존 인력을 감원해 경제 침체 위기에 대응할 방침이다.
코로나19 팬데믹을 거치면서 실적 수혜를 입었던 네이버와 카카오의 상황도 크게 다르지 않다. 두 회사의 성장세가 끝나간다는 우려가 현실화하고 있다. 증권가에선 올해 2분기 두 회사의 실적이 당초 예상보다는 주춤할 것이란 전망을 쏟아내고 있다.
경기 침체가 본격화할 경우, 이들 기업도 긴축 경영에 내몰릴 수 있다. 과거에 비해 조직력이 탄탄해진 노조와 목소리를 키우는 내부 구성원의 반발에 어떻게 대응하느냐가 앞으로의 경영 변수로 자리 잡을 가능성이 크다.
IT업계 관계자는 “팬데믹 특수 때 급증한 인건비를 앞으로의 실적이 뒷받침하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면서 “성장을 위해선 신사업 투자를 늘리고, 영업비용을 줄여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도 적지 않은 진통을 겪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다린 기자 quill@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많이 본 뉴스
MAGAZINE
MAGAZINE
Klout
Klout
섹션 하이라이트
섹션 하이라이트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 모아보기
- 일간스포츠
- 이데일리
- 마켓in
- 팜이데일리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국내 TPD 회사는 저평가 되었나…당면한 숙제는 '임상'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이데일리
일간스포츠
‘45세’ 김종민 경사…공개 열애 8개월만, 오늘(20일) 결혼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대학서 강의한 아파트 관리소장 징계받은 이유[슬기로운회사생활]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EU있는경제]투자만이 살 길…PE 규제 허물고 반등 노리는 英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동물실험 폐지 명암] 투심 쏠린 토모큐브, 빅파마가 주목하는 까닭①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