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출 5조원 넘는데…롯데케미칼, 2분기 영업손실 214억원
충격의 적자 전환…하반기 반전 가능성은

7일 석유화학업계 등에 따르면 롯데케미칼은 2분기 연결기준으로 매출액 5조5110억원, 영업손실 214억원을 기록한 것으로 잠정 집계했다. 지난해 2분기보다 매출액이 26.6% 증가했음에도 적자 전환한 것이다. 롯데케미칼의 상반기 연결기준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11조973억원, 612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상반기와 비교해 매출액은 30.2% 늘었는데, 영업이익은 95% 급감했다. 롯데케미칼 측은 “올해 상반기는 원료 가격 상승 및 수요 둔화로 업황이 악화돼 수익성이 하락했다”며 “생산 효율성 제고, 고부가 제품의 판매 확대 등을 통해 수익성 방어 노력을 지속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첨단소재 사업을 제외한 롯데케미칼의 주요 사업들은 2분기에 수익성 악화에 시달렸다. 롯데케미칼의 기초소재 사업은 2분기에 매출액 3조4534억원, 영업손실 84억원을 기록했다. 여수공장 정기보수에 따른 기회손실과 원료 가격 상승, 글로벌 수요 둔화 등의 여파로 수익성이 악화된 탓이다.
롯데케미칼타이탄 역시 2분기에 매출액은 8218억원, 영업손실 600억원을 기록해 적자 전환했다. 중국 수요 둔화 및 원료 가격 부담 등의 영향이다. LC USA는 2분기에 매출액 1784억원, 영업이익 38억원을 기록했다. 유럽향(向) 천연가스 수출 수요 증가로 원료 가격은 급등한 반면, 모노에틸렌글리콜(MEG) 제품 수요 약세가 지속됐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다만 롯데케미칼의 첨단소재 사업은 2분기에 매출액 1조2346억원, 영업이익 714억원을 달성했다. 글로벌 인플레이션 우려 등으로 전방 수요가 급감했지만, 주요 제품의 원료 가격 안정 영향으로 1분기와 비교해 수익성이 개선됐다는 게 롯데케미칼 측의 설명이다.
하반기 실적 전망 ‘흐림’
하이투자증권은 5일 보고서에서 “최근 국제유가 하락으로 원재료 부담 축소에 대한 기대감이 조금씩 생겨나는 중”이라면서도 “2023년까지 역내 신규 설비 유입이 예정돼 있어 공급 부담을 피할 수가 없고, 금리 인상 및 인플레이션 등에 따른 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로 수요 회복을 기대하기도 쉽지는 않은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석유화학업체들의 원가 부담이 다소 완화되고 있으나, 수요 둔화와 공급 증가 등을 고려하면 업황 개선이 쉽지 않을 것이란 지적이다.
롯데케미칼은 하반기 전망에 대해 “나프타 가격 하락에 따른 원가 부담이 일부 줄어들 것으로 보이지만 인플레이션 우려 및 코로나19 재확산 영향으로 글로벌 수요 약세가 심화돼 수익성 개선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어 “2030 비전 추진을 위해 스페셜티(고기능성) 제품 연구개발과 고부가 제품 판매를 확대하고 수소 에너지, 전지소재, 리사이클 플라스틱 등의 신사업을 계획대로 차질 없이 진행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창훈 기자 hun88@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국세청도 참전…‘年 10조원’ 세무환급시장, 어디까지 커지나
2韓기업 떨고 있니?...한반도 침투하는 차이나머니
3'13번째' 로켓 베이비 등장?...일론 머스크는 '연락 두절'
4프란치스코 교황, 병세 계속 위중… 교황청 “한때 호흡곤란”
5"식구끼리 비방하면 누가 좋나"…이재명 강성 지지층 자제 당부
6경제8단체 “상법 개정 철회하고, 대안으로 자본시장법 개정”
7 이준석 “이재명, 정치도 운전도 이렇게 하면 사고 나"
8이재명 “아직도 초부자감세 미련 있나”…세제개편 토론 제안
9지난해 육아휴직자 10명 중 3명은 남성…처음으로 30% 넘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