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1일 미 FOMC 금리 수위 고심
파월 “물가 안정 우선, 고강도 긴축”
시장 ‘1%포인트 인상 가능성’ 예측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선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313.45포인트(1.01%) 추락한 3만706.23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43.96포인트(1.13%) 하락한 3855.93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109.97포인트(0.95%) 후퇴한 1만1425.05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지수(VIX)는 전장보다 1.40포인트(5.43%) 오른 27.16을 각각 나타냈다.
투자자들은 FOMC에서 결정할 기준금리 수위를 예측하는데 온통 주목하고 있다. 시장의 예측치는 ‘자이언트 스텝’(0.75%포인트 인상)과 ‘울트라 스텝’(1.0%포인트 인상)에 무게를 두고 있다.
연준이 이번에도 0.75%포인트 인상하면 3회 연속 ‘자이언트 스텝’이다. ‘울트라 스텝’을 예측하는 의견도 만만치 않다. 연준이 자이언트 스텝을 2회 연속 단행했는데도 인플레이션 억제 효과를 기대만큼 얻지 못한데다 현 상황이 연준의 목표치(2%대)와도 상당히 멀기 때문이다.
투자자들은 지난달 26일(현지시간) 경제정책 컨퍼런스(잭슨 홀 미팅) 연설에서 밝힌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의 의지를 다시 한번 곱씹어보고 있다. 파월 의장은 당시 ▶“인플레이션을 목표치인 2%까지 안정시키려면 고강도 긴축 통화 정책이 필요하다” ▶“물가 안정은 경제의 근간이다” ▶“물가 안정 없인 모두에게 이익이 될 수 있는 노동시장 환경을 조성하기 어렵다” ▶“물가 안정을 위해선 고통을 감내해야 한다” ▶“물가 안정을 회복하지 못하면 더 큰 고통을 겪게 될 것이다”라고 강조했다.

스웨덴 국립은행(중앙은행)이 20일(현지시간) 기준금리를 1%포인트 파격 인상을 단행했다. 스웨덴 국립은행은 이번 조치를 통해 기준금리를 1.75%까지 끌어올렸다. 이는 시장의 전망치(0.75%포인트)를 웃도는 수준이며 스웨덴이 인플레이션을 관리해온 1993년 이후 역대 최대 인상폭이다.
앞서 지난 7월에도 캐나다 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1%포인트 인상해 주목을 받았다. 스웨덴 국립은행도 1%포인트 금리 인상 행렬에 동참한 것이다. 스웨덴의 이번 파격 인상은 미국 FOMC가 열리기 직전에 한 결심이어서 물가 상승으로 몸살을 앓고 있는 세계 경제 상황을 대변하는 듯한 의미를 제시했다.
미국도 기준금리 추가 인상이 확실시 되는 상황인데다 곧이어 잉글랜드 은행과 스위스 중앙은행도 기준금리를 결정할 예정이다. 이들 역시 금리를 추가 인상할 것으로 보인다. 주요국 중앙은행들의 긴축 정책 행렬은 경기 침체와 주가 하락을 자극하는 압력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코로나19 대유행,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전쟁, 중국의 경제 성장 둔화, 미국과 중국 간 무역 갈등, 신냉전시대로 불리는 관계 악화 등의 여파로 세계 공급망 불안정이 커지고 있는 점도 장기간 큰 부담이 될 것으로 보인다.
박정식 기자 tango@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많이 본 뉴스
MAGAZINE
MAGAZINE
Klout
Klout
섹션 하이라이트
섹션 하이라이트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 모아보기
- 일간스포츠
- 이데일리
- 마켓in
- 팜이데일리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선관위에 '붉은 천' 파묻은 의문의 무리들...경찰 수사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복수하겠다”…이찬원도 ‘깜짝’ 놀란 사연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14배 폭등 끝 ‘급전직하’ 상지건설…장 마감후 대규모 CB 전환 공시(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EU있는경제]투자만이 살 길…PE 규제 허물고 반등 노리는 英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필름형 '서복손' 성공 길 걷겠다"…CMG제약, '메조피' 美안착에 올인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