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 산하 공공기관 6곳, '비정규직 제로화' 위해 혈세 71억 투입
"국민 혈세로 자회사 설립… 간접 고용 방식으로 5804명 채용" 비판
사회적 논의 부족한 국정과제 추진해 혈세 부담 키웠다는 지적

국회 정무위원회 김희곤 의원(국민의힘, 부산 동래구)이 금융위원회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를 조사 및 분석한 결과, 금융위원회 산하 공공기관 6곳은 70억9000만원의 출자금을 조성해 자회사를 설립해 현재 5804명의 직원을 간접 고용 중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8년 3677명에 비해 36%(2127명)가 증가한 수치다.
기관별 출자액을 보면 ▶산업은행 15억원(케이디비비즈) ▶중기업은행 30억원(IBK서비스) ▶신용보증기금 5억원(신보운영관리(주)) ▶예금보험공사 1억원((주)예울FMC) ▶한국자산관리공사 9억9000만원((주)캠코CS) ▶한국주택금융공사 10억원(에이치에프파트너스(주))이었다.
또한, 금융위 산하 6개 기관 모두 2018년보다 간접 고용 인원을 늘렸다. ▶산업은행 357명(64%) ▶중기업은행 1095(30%) ▶신용보증기금 240명(69%) ▶예금보험공사 73명(100%) ▶한국자산관리공사 266명(27%) ▶한국주택금융공사 96명(39%)을 늘린 것으로 집계됐다.
한편, 문재인 정부는 지난 2017년 ‘공공부문 비정규직 근로자 정규직 전환 가이드라인’을 발표해 공공기관이 직접고용, 자회사, 사회적기업 등 세 가지 전환방식 중 취사선택하도록 한 바 있다.
김희곤 의원은 “금융위 산하 공공기관도 정부의 압박에 못 이겨 울며 겨자 먹기로 자회사를 설립해 간접 고용을 했지만 무늬만 정규직이고 노동환경은 크게 변화되지 않아 세금은 세금대로 쓰고, 또 다른 갈등만 야기시켰다”고 지적했다.
김정훈 기자 jhoons@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삼성맨 평균 연봉, 얼마일까?"...지난해 7% 올라 ‘억 소리’
2데이원컴퍼니‧아이지넷 주가 하락 지속…환매청구권 부담 커지나
3한국게임산업협회, 조영기 전 넷마블 대표 신임 협회장 추대
4“100주 있으면 45만원 받는다”…삼성생명 배당금 역대 최대
5트럼프의 ‘심야 트윗’에 잠 못 드는 미국·유럽 투자자들, 왜?
6재무상담 원하는 MZ 세대 주목…예산 5억원 투입
7“삼겹살이 890원?”...오픈 직후 사람들 몰렸다
8에어비앤비 공동 창업자, LA 산불 피해 주민에 조립식 주택 기부
9현대차 제일 잘 파는 사람, ‘대전’에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