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저개발국 백신 공급 및 신규 플랫폼 확보

힐레만연구소는 글로벌 제약사인 미국 머크(MSD)와 세계 최대 규모의 의료 연구 지원재단인 영국 웰컴트러스트가 합작 투자해 2009년 설립한 연구기관이다. 체결식에는 라만 라오힐레만연구소 최고경영자(CEO)와 안재용 SK바이오사이언스 사장, 김훈 SK바이오사이언스 최고기술책임자(CTO) 등이 참석했다.
두 기관은 중·저개발 국가의 백신 공급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해 신규 백신 기초 연구부터 후보물질 선정, 제조공정 개발, 임상 연구 등 백신 연구개발(R&D) 과정에서 협력하기로 했다. 힐레만연구소는 연구 및 초기 공정 개발을 맡고, SK바이오사이언스는 공정 개발 및 상업화 과정에서 역량을 발휘할 예정이다.
또한, 에볼라, 라싸열, 치킨구니야, 수족구 등 바이러스성 질환과 항생제 내성 질환 등이 유행하면 최신 백신 플랫폼으로 백신을 빠르게 공동 개발하고, 적기에 공급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는 데 합의했다.
앞서 SK바이오사이언스는 백신과 생물학적 제제를 개발하기 위해 국제백신연구소(IVI), 워싱턴대학교 항원디자인연구소(IPD) 등 글로벌 연구기관들과 협력 관계를 구축해왔다. 회사는 mRNA 플랫폼을 개발해 기존 파이프라인을 강화하고,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RSV) 백신, 거대세포바이러스(CMV) 백신, 항암 백신 등에도 적용한다는 계획이다.
라만 라오 CEO는 “중·저개발국은 경제적 부담 등으로 전염병이 첫 방어선인 백신을 접종하기가 어려웠다”며 “백신에 많은 사람이 접근할 수 있도록 만들겠다는 사명을 완수하기 위해 SK바이오사이언스와 새로운 백신 플랫폼 개발에 협력하게 된 것을 기쁘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안재용 SK바이오사이언스 사장은 “팬데믹을 계기로 높아진 회사의 위상을 반영하듯 글로벌 파트너들의 관심과 협업이 지속되고 있다”며 “힐레만연구소 등 세계에서 손꼽히는 R&D 역량을 갖춘 연구기관들과 협력 관계를 확대해 명실상부한 글로벌 기업으로 도약하겠다”고 했다.
선모은 기자 suns@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속보]서울고법, 이재명 파기환송 첫 기일 6월 18일로 연기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팜이데일리
백종원, 15년 만 방송 활동 중단 선언..무슨 사연?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고개숙인 최태원 “SK그룹 전사 보안체계 검토”[전문]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쪼개기 보호예수’ 백종원, 더본코리아 오버행 우려 잠재울까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비만약에 150억 달러 투자 나선 화이자, 디앤디파마텍·인벤티지랩에 호재?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