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카카오맵, 지하철 대란 상황 실시간 반영했는데…네이버는 왜?
실시간 반영 여부, 기술력 아닌 데이터 제휴 범위 차이 때문
네이버 지하철 상황 앱 서비스에 반영 못해…“서비스 확대 노력”

지하철 1호선을 통해 매일 출퇴근을 하는 김씨(31)가 7일 오전 겪은 경험이다. 그는 “네이버지도는 실시간 교통을 반영해 ‘최적의 경로’를 안내해 줬던 앱인데, 대중교통 돌발 상황에선 무용지물이 됐다”며 “네이버지도만 믿다가 출근길에 고생했던 터라 오후에는 카카오맵을 깔아 이용했다”고 했다.
김씨가 카카오맵을 깐 이유는 카카오맵에선 지하철 지연·중단 운행에 따른 실시간 정보를 볼 수 있다는 것을 알았기 때문이다. 도착 예정 시각의 정확도는 다소 떨어졌지만 네이버지도와 달리 카카오맵에선 실시간으로 지연 여부 확인이 가능했다.
8일 네이버에 따르면 현재 서비스하고 있는 지도 앱엔 지하철 실시간 정보를 반영하지 않고 있다. 지난 7일 하루 내내 지속됐던 서울 지하철 1호선 열차의 지연·중단 운행 정보가 고려되지 않은 채 길찾기 서비스가 제공됐다. 반면 카카오맵에선 서울 지하철 1호선의 지연·중단 운행 정보가 일부 반영돼 서비스가 이뤄졌다.
네이버지도 앱에 이 같은 대중교통 실시간 상황이 반영되지 않아 시민들의 혼란이 가중됐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실제로 인터넷 커뮤니티엔 ‘네이버지도엔 벌써 도착했는데 보이지 않는 1호선’이란 식의 글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혼란 키운 네이버지도…실시간 서비스 조건은?
지하철의 위치 정보는 한국철도공사(코레일)나 서울교통공사 등의 운영사에서 데이터를 제공하지 않으면 활용할 수 없는 구조다.
네이버는 현재 각 지하철 역사에서 정해져 있는 운행 시간표 수준에서만 데이터를 제공받고 있다. 이 때문에 전일 서울 1호선 지하철 지연 등과 같은 돌발 상황에 대처할 수 없었던 것으로 분석된다. 이에 반해 카카오는 지하철 운영사로부터 실시간 정보를 받고 있다.
네이버 관계자는 “데이터 제휴의 범위에 따라 실시간성·정확도 등의 서비스가 다르다. 일부 대중교통의 경우 지하철과 달리 실시간 정보를 제공 중”이라며 “향후 서비스 영역을 넓힐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전일 서울 지하철 1호선의 지연·중단 운행은 지난 6일 밤 영등포역 인근에서 발생한 무궁화호 탈선사고의 여파다. 이 때문에 당시 서울의 많은 시민이 출퇴근 대란 등 불편을 겪었다.
정두용 기자 jdy2230@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한국 관세 행정명령 부속서엔 25% 아닌 26%…백악관 "부속서 따라야"
2'펭리둥절' 남극에도 트럼프 관세?…"안전한 곳 없어"
3경북도, 산불피해 농어촌에 긴급자금 200억 지원
4구미시 "낙동강 따라 걷고 쉬고 즐긴다"
5울진대게, 대한민국 대표 브랜드 9년 연속 선정
6경주 벚꽃마라톤, 봄바람을 가르며 1만 5천여 명의 질주
7"수사는 안 하고 달력만 넘긴다" 홍준표 수사, 6월에는 결론날까?
8"일본산, 이젠 안녕!" 울진군, 동해안 방어 양식시대 개막
9"글로벌 인재로 미래 연다" 경북도, 3일부터 광역형 비자 시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