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
“리오프닝에 고가 외출복 구입 늘었다”…한세실업 3분기 영업익 266% ‘껑충’
- 한세실업, 3분기 매출액 5883억원·영업익 655억원
고가 의류 브랜드와의 계약 증가, 외출복 구입도 ↑
액티브웨어 전문 브랜드 수주 증가도 호실적 요인

한세실업이 3분기도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하며 올해 모든 분기마다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다고 15일 밝혔다.
한세실업은 지난 14일 오전 공시를 통해 2022년 3분기 실적을 발표했다. 3분기 매출액은 5883억원으로 지난해(4163억원)보다 41%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2021년 3분기 179억원에서 266% 증가한 655억원으로 영업이익율은 11.1%다.
한세실업은 “고가 의류 브랜드와의 계약이 증가하며 매출이 큰 폭 상승했다”며 “계절적 특성상 F/W 시즌 제품은 S/S 제품보다 단가가 높은데 이번 분기 F/W 제품 비중이 큰 것도 영향을 줬다”고 설명했다. 코로나19 이후 전 세계적인 리오프닝으로 비즈니스 활동이 재개되면서 실내복보다 단가가 높은 외출복 구입이 증대한 것도 매출 증가에 영향을 줬다는 분석이다.
또 전 세계적으로 액티브웨어 시장이 성장한 가운데 액티브웨어 전문 브랜드 수주가 증가한 것도 호실적 요인으로 꼽혔다. 리오프닝과 함께 베트남에 보유한 주력 생산시설이 본격 가동되며 생산성 역시 정상화됐다. 이런 가운데 분기 평균 환율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5.6% 상승해 원화 환산 효과도 더해져 올해 매출은 2조원을 넘을 것으로 예상된다.
김익환 한세실업 부회장은 “한세의 독자적 기술력인 스마트팩토리 시스템 햄스(HAMS, Hansae Advanced Management System)에 기반해 제조 공정에 투입되는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며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있다”고 밝혔다. 한세실업은 북미와 인접한 중미 지역 생산을 지속 확대하며 물류비를 절감하고, 재활용전문 섬유 생산 기업과의 파트너십도 공고히 하며 친환경 의류 생산을 확대해 글로벌 ESG 경영에도 적극 동참할 계획이다.
한세실업은 4분기 실적 전망에 대해 “미국 의류 소비시장 둔화와 그에 따른 의류 업체의 재고 부담 등이 다소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강달러 추세가 연말까지 이어질 전망이고 국제 원면 같은 주요 원자재 가격 하락, 글로벌 물류망 정상화가 예상돼 원가를 안정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한편 한세실업은 전 세계 9개국에서 20개 법인 및 9개 사무소를 운영하며, 전체 직원 수는 5만여명에 달한다. 한세실업 수출 물량은 2021년 한 해만 약 4억장에 달한다. GAP, H&M, 에어로포스테일과 핑크 등 글로벌 유명 의류 브랜드와 파트너십을 맺고 있으며 미국 대형 유통업체 ‘월마트’와 ‘타겟’의 자체상표(PB) 상품도 생산·수출하고 있다. 지난 2014년에는 자회사 ‘칼라앤터치’를 설립해 원단 사업을 시작했고, 현재 베트남에 ‘C&T VINA’와 ‘C&T G-TECH’ 생산 법인을 두고 있다.
김채영 기자 chaeyom@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많이 본 뉴스
MAGAZINE
MAGAZINE
Klout
Klout
섹션 하이라이트
섹션 하이라이트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 모아보기
- 일간스포츠
- 이데일리
- 마켓in
- 팜이데일리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尹, 사저정치 시동거나…'윤어게인 신당' 주역들과 회동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김종민·에일리·심현섭, 오늘(20일) 결혼… 연예인 하객들 바쁘겠네 [왓IS]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1만원대 맞아?” BBQ 치킨에 짬뽕 무한리필 끝판왕 뷔페[먹어보고서]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한화에어로 유증 여전히 물음표…또 제동 걸렸다[위클리IB]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국내 TPD 회사는 저평가 되었나…당면한 숙제는 '임상'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