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일반
3년 만에 오프라인으로…‘지스타 2022’ 나흘간 대장정 시작 [지스타 2022 현장에서]
- 43개국 987개사 2947부스 규모로 개최
BTC관 확대, 제2전시장 3층까지 확대 운영

올해로 18회째를 맞이한 지스타 2022는 한국게임산업협회가 주최하고 지스타조직위원회와 부산정보산업진흥원이 공동 주관을 맡아 17일부터 20일까지 4일간 개최된다.
개막식에는 강신철 지스타조직위원장, 전병극 문화체육관광부 제1차관, 조현래 한국콘텐츠진흥원 원장, 박형준 부산시장, 김규철 게임물관리물위원회 위원장, 장현국 위메이드 대표, 이정헌 넥슨코리아 대표, 조계현 카카오게임즈 대표, 권영식 넷마블 대표, 김창한 크래프톤 대표, 배태근 네오위즈 대표 등이 참석해 자리를 빛냈다.
올해 지스타는 43개국 987개사가 참여해 2947부스를 열었다. 지난해 대비 2배 수준이다. 다만 참관객 안전을 위해 축소 또는 취소된 부대행사가 발생함에 따라 지난 ‘지스타 2019’의 3208부스 규모에는 소폭 못 미쳤다. 관람객들은 메인 스폰서 위메이드를 비롯해, 넥슨, 넷마블, 크래프톤, 카카오게임즈, 호요버스 등 부스에서 다양한 신작과 이벤트 등을 체험해볼 수 있다.
이번 지스타의 주요 키워드 중 하나는 ‘안전’이다. 참관객 밀집도를 시작 단계부터 관리하기 위해 온라인 사전 예매자들의 입장과 현장 티켓 구매 시간을 구분했다. 입장권 교환처에서 이동에 문제가 없도록 교환처와 벡스코 사이 도로도 행사기간 동안 통제하기로 했다. 아울러 전시장 별로 입장 대기 공간이 확보돼 있으며, 전시장 내부에도 밀집도에 따라 입장을 조정하고 현장 티켓 판매 역시 이에 맞춰 유기적으로 진행된다.

지스타 관계자는 “지스타의 안전·현장 운영 인력과 함께 개최도시 및 주관사, 유관기관(경찰서 및 소방서 등)의 지원 인력을 포함할 경우, 전체 인력규모는 약 550명에 달한다”며 “참가사 역시 밀집 발생이 예측 가능한 이벤트에 대한 안전계획을 별도로 수립하는 등 안전관리에 동참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강신철 지스타조직위원회 위원장은 “이번 ‘지스타’는 무엇보다도 안전을 최우선하고 있으며, 안전계획에 허점이 없는지 유관기관과 지속적인 점검을 진행해왔다”며 “실제 행사기간 동안 참관객들이 안전한 환경 속에서 신작 게임과 새로운 콘텐츠를 체험하고 즐길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특히 이번 지스타는 기존의 벡스코 1전시장에서만 진행돼 온 BTC관을 최초로 제2전시장 3층까지 확대해 진행한다.
제1전시장에는 위메이드, 넥슨코리아, 넷마블, 카카오게임즈, 크래프톤, 인벤, 이루고월드, 레드브릭, 삼성전자, 에픽게임즈 등이 참가하며, 제2전시장 3층에는 플린트, 네오위즈, 호요버스 등이 전시 부스를 마련했다.
제2전시장 3층에는 부산인디커넥트페스티벌(BIC)과 함께 ‘지스타 X BIC 쇼케이스 2022’ 부스를 운영하며, 총 40여 개의 국내외 우수 인디게임의 특별 전시가 진행한다. 아울러 동일 전시장 내 ‘지스타 플레이그라운드(지스타 놀이터)’를 구성해 인벤과 함께 참관객들이 즐길 수 있는 다양한 이벤트와 콘텐츠를 제공할 계획이다.
이번 지스타에서는 지난 2년간 코로나 19로 인해 진행하지 못했던 야외전시 부스와 푸드트럭존이 다시 운영 되며, 전시장 내외부 인원 분산 목적으로 야외 부대행사인 지스타 웜업 스테이지(아케이드 게임존, 포토이벤트존, 포토월 등)가 운영된다.

매년 질적, 양적 성장을 거듭하며 국제게임전시회 지스타의 핵심 부대행사로 자리 잡은 지스타 컨퍼런스도 눈여겨 볼 만 하다. 컨퍼런스는 17일부터 18일까지 2일간 벡스코 컨벤션홀 1층에서 개최된다.
올해 컨퍼런스의 가장 큰 특징은 미국 GDC, 일본 CEDEC 등 해외 유수의 컨퍼런스와 견줘도 부족함이 없는 화려한 연사 라인업이다. 특히 일본 게임 산업을 대표하는 스타 개발자 다수가 강연자로 이름을 올렸다.
1일차 오프닝 연설에는 ‘디트로이트 : 비컴 휴먼’ 등을 통해 인터랙티브 게임 장르를 한 단계 끌어 올렸다고 평가 되는 퀀틱드림의 ‘데이비드 케이지’ CEO가, 키노트 연설에는 최고의 기대작 중 하나인 ‘칼리스토 프로토콜’을 개발하고 있는 스트라이킹 디스턴스 스튜디오의 최고 개발 책임자인 ‘스티브 파푸트시스’가 강연을 진행한다.
2일차 오프닝 연설에는 게임과 블록체인 생태계에서 가장 활발하게 활동하며 업계의 리더로 자리매김한 위메이드의 ‘장현국’ 대표가, 키노트 연설에는 일본을 대표하는 명작 ‘몬스터 헌터’ 시리즈의 아버지 캡콤의 ‘츠지모토 료조’가 강연을 진행한다.
원태영 기자 won77@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많이 본 뉴스
MAGAZINE
MAGAZINE
Klout
Klout
섹션 하이라이트
섹션 하이라이트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 모아보기
- 일간스포츠
- 이데일리
- 마켓in
- 팜이데일리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김문수 “65세 이상, 버스도 무임승차…출퇴근 시간은 제외”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김종민·에일리·심현섭, 오늘(20일) 결혼… 연예인 하객들 바쁘겠네 [왓IS]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1만원대 맞아?” BBQ 치킨에 짬뽕 무한리필 끝판왕 뷔페[먹어보고서]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한화에어로 유증 여전히 물음표…또 제동 걸렸다[위클리IB]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국내 TPD 회사는 저평가 되었나…당면한 숙제는 '임상'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