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국제금융협회, 내년 글로벌 성장률 1.2% 전망…“금융위기 직후 수준"
- 유럽이 성장 둔화 주도
내년 중국 경제 중요성 높아져

협회는 로빈 브룩스 수석 이코노미스트 등이 작성한 보고서에서 2023년 글로벌 성장률이 1.2%에 그칠 것이라면서 기저효과 등을 고려할 경우 2009년 수준이라고 분석했다.
보고서는 “전 세계 국내총생산(GDP)에 미치는 심각성의 정도는 원칙적으로 우크라이나 전쟁의 향방에 달려 있다”며 “기본전제는 이 전쟁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존립과 관련된 것이어서 2024년까지 계속된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보고서는 이 같은 성장률 둔화가 전쟁의 충격을 가장 많이 받는 유럽에 의해 주도될 것이라고 봤다. 특히 유로 지역 성장률은 소비자와 기업의 신뢰도가 급격하게 동반 하락하면서 2% 하락세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미국은 1%의 성장하는 반면 남미는 상품 수출이 식품과 에너지 가격 상승의 혜택을 받아 1.2% 상승하는 등 눈에 띄는 성장을 할 것으로 내다봤다.
아울러 보고서는 내년 세계 경제의 가장 큰 요소는 중국이 될 것이라면서 코로나19 규제가 완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김윤주 기자 joos2@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3000억’ 횡령한 은행원, 강남에서 초호화 생활…결국엔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마켓인
마켓인
'송하윤 학폭 논란' 최초 유포자, 수사엔 불응…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영끌족' 돈줄 끊겼다…수십억 '계약파기' 속출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코리아디스카운트’ 부추기는 공시 간소화?…정보 불균형 심화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항생제 사업에 힘싣는 JW중외제약…왜?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